전대 앞두고 사라진 새정치련 '36만명 시민 명부' 누가?
친노 "특정 계파가 의도적으로 폐기 또는 분실 방치"
내년 2월 전당대회를 앞둔 새정치민주연합이 36만 명의 경선참여선거인단 명부를 분실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가 즉각 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당 최대 계파인 친노계를 중심으로 ‘의도적 폐기’가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김성곤 전준위원장은 지난 15일 “시민명부에 기재된 경선참여선거인단 36만 명의 명부가 분실됐다”며 “17일까지 찾지 못하면 이번 전대에서는 이들의 여론을 반영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실 사실을 인정했다.
김 위원장은 또 “그동안 CD 형태로 보관했는데, 당사를 이전하면서 없어진 것인지 누가 고의로 없앴는지 모르겠다”며 “일단 전당대회 룰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찾아보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번에 명단이 없어진 36만명은 지난 2012년 6.9 전당대회와 대선후보 경선 때 당내 경선에 참가했던 '국민경선참여선거인단' 소속이다. 당원은 아니지만 새정치연합 지지자로 분류되는 이들로, 당헌에 따라 투표권도 갖는다. 당시 세 번의 당내 경선에서 한명숙·이해찬 의원이 당 대표로, 문재인 의원이 대선 후보로 오르는 등 모두 친노계 인사가 당선된 바 있다.
이에 친노 진영에서는 “특정 계파가 고의적으로 폐기하거나 분실을 방치한 것으로 의심된다”며 "누가 어떤 의도로 명부를 폐기했는지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겠다"는 강경 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아울러 이날 당 전준위는 계파 간 공방이 극심한 선거인단 구성 비율에 대한 결정을 오는 18일로 미뤘다. 현재 친노계는 ‘대의원 40%, 권리당원 30%, 일반당원·국민 30%’를 주장하는 반면, 비노계 측은 전 당원 1인1표제 및 현장직접투표를 요구하고 있어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앞서 이날 오전 새정치연합 평당원협의회(새평협)은 비상대책회의 직전 당대표회의실을 점거하고 '전 당원 1인1표제'와 '컷오프제 폐기' 등을 주장하며 문희상 비대위원장과의 면담을 촉구했다. 이 과정에서 새평협 회원들과 당직자들 간 고성과 충돌이 오가기도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