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조사위 “보 6곳에서 누수 현상 발생”
물받이공서 누수… 낙동강 녹조 현상도 4대강 사업 때문
4대강 사업 조사‧평가위원회가 4대강 사업에 대한 조사 결과 4대강 보 6곳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4대강 조사위는 1년 4개월 동안 조사한 결과 4대강 16개 보에서 누수 가능성이 있었던 9개 보에 대해 수중 조사를 벌여 총 6개 보의 하류 쪽에 만든 구조물 ‘물받이공’에서 물이 새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23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밝혔다.
또한 지난해 낙동강 녹조 현상이 심해진 것은 4대강 보와 준설로 인해 물이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수질이 악화된 탓이라고 말했다.
조사위는 4대강 사업으로 조성된 생태공원과 생태 하천이 오히려 생태계의 변화를 가져왔다고 말하면서 4대강 사업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했다.
결론적으로 “4대강 사업은 일정부분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한다”면서도 “충분한 공학적 검토 및 의견수렴 없이 제한된 시간에 서둘러 사업을 진행한데다 우리나라 하천관리 기술의 한계 등으로 일부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사위는 누수 현상이 발견된 6개 보에 대해 정밀 검사를 해 보완 대책을 세워나가는 한편 중장기 계획을 세워 4대강 사업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보완해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누수 현상이 발견된 보는 구미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공주보, 백제보이며 4대강 조사위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대해 객관적인 조사를 위해서 국무총리실 산하에 설치된 민간위원회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