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청와대·통일부·강원도, 평창올림픽 분산개최 여부 '엇박자'


입력 2015.01.09 09:36 수정 2015.01.09 09:41        김지영 기자

류길재 장관, 최문순 지사 발언 확대해석되면서 남북 분산개최 논란 불거져

청와대 "분산개최는 하지 않는다는 정부 입장에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알아"

평창동계올림픽 남북 분산개최 논란을 놓고 청와대와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가 우왕좌왕하는 모습이다. ⓒ게티이미지

평창동계올림픽 남북 분산개최 논란을 놓고 청와대와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가 우왕좌왕하는 모습이다.

우리 정부의 기본적인 원칙은 분산개최 ‘불가’이지만, 분산개최 가능성을 열어놓은 듯한 류길재 통일부 장관과 최문순 강원도지사의 발언이 확대해석되면서 정부 내에서도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우선 청와대는 9일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와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 원칙에는 변함없다. 분산개최는 하지 않는다는 정부 입장에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는 류 장관의 발언으로 촉발된 논란을 조기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앞서 류 장관은 전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평창동계올림픽 남북 분산개최와 관련된 질의에 “남북간 관계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모든 것이 열려있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답했다.

이에 통일부는 “장관의 답변은 의원의 질의에 대해 남북관계 개선 및 대화가 재개돼야 한다는 원칙적 입장을 강조한 것”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논란은 해소되지 않았다.

이보다 먼저 남북 분산개최 논란에 불을 지핀 건 최 지사였다.

최 지사는 지난 5일 ‘조선일보’와 인터뷰에서 “북한이 원한다면 스노보드 프리스타일과 자이언트 슬라롬 등 종목에 대해 국제올림픽위원회의 허가를 받아 분산 개최를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후 강원도는 보도자료를 내 “평화올림픽으로 치르기 위한 상징성을 고려하면, 개별종목에서도 별도 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기 등에 한해 고려해 볼 수 있다는 아이디어 차원의 언급이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논란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지난해 복수의 국가와 도시에서 올림픽을 분산 개최하는 방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하면서 촉발됐다.

IOC는 지난해 12월 8일 모나코에서 제127차 임시총회를 열고 ‘올림픽 어젠다 2020’의 첫 안건이었던 ‘올림픽 복수 도시 개최’를 IOC 위원들의 표결로 만장일치 통과시켰다.

이후 북한의 입장을 대변해온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의 기관지 조선신보는 같은 달 12일 IOC의 결정을 거론하며,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 공동개최를 제안했다.

김지영 기자 (j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지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