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비자금의혹' 포스코건설…계열사까지 확대 수사
포스코 P&S 탈세 및 포스코플랜텍 합병 의혹도 수사
검찰이 100억원대 비자금 조성 의혹을 받고 있는 포스코 건설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포스코 P&S·포스코플랜텍 등 다른 계열사까지 전방위 수사를 예고하면서 포스코가 긴장하고 있다.
14일 포스코와 검찰 등에 따르면 검찰은 비자금 조성 의혹을 받고 있는 포스코건설에 대해 전날 검사 5명이 포함된 40여명의 수사인력을 보내 인천 송도 포스코건설 본사와 임직원 자택을 10시간 넘게 압수수색했다.
이날 내부 문서와 회계장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해 압수물 분석에 나선 검찰은 비자금 중 상당액이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비자금의 사용처’에 무게를 두고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앞서 포스코건설은 전 동남아지역 임원 2명이 2009년~2012년 현지 사업을 진행하며 공사비를 부풀려 140억원 가량의 비자금을 조성, 일부를 사적으로 유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검찰은 횡령한 비자금의 ‘사용처’뿐 아니라 그동안 논란이 된 포스코P&S 역외탈세, 포스코플랜텍의 부실기업 인수합병 의혹 등에 전방위적으로 수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P&S는 포스코가 생산한 철강 제품을 가공·판매하는 업체로, 국세청은 지난 2013년 9월 포스코P&S에 대해 세무조사를 한 뒤 1300억원대 탈세 의혹이 있다며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지난해 4월 포스코 P&S 본사를 압수수색했던 검찰은 최근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에 재배당했다. 이는 포스코건설 비자금 의혹과 함께 포스코 P&S의 탈세 의혹도 묶어 강도 높게 수사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또한 특수2부는 지난 2010년 포스코가 시세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성진지오텍을 인수해 포스코플랜텍과 합병한 부분도 들여다보고 있다. 당시 성진지오텍은 2000억원 가까운 대규모 손실을 기록하고 있었는데, 포스코는 이 회사의 지분을 주가보다 2배나 높은 가격에 사들여 합병 논란이 일었다.
포스코플랜텍은 최근까지 업황 악화와 사업 부진으로 자본이 잠식되는 등 부실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당시 MB정권 실세들이 정준양 당시 포스코 회장에게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검찰은 당시 포스코 회장이었던 정준양 전 회장이 이명박 정권 실세들과 교류가 깊었다는 점에서 포스코의 부실화 과정에 전 정권 실세들의 압력이나 로비가 있었는지 등의 살펴볼 것으로 알려졌다.
정 전 회장은 이명박 정권 시절 포스코 회장 자리에 올라 여러 기업을 인수하면서 계열사 수를 크게 늘린바 있다. 2007년 포스코 자회사 수는 20여개에 불과했으나 2012년에는 70개를 넘어섰다.
하지만 포스코는 사업확장 이후 경기 부진과 철강 시황 악화 등으로 실적이 부진해지자 지난해 3월 권오준 회장 취임하면서 늘렸던 계열사를 다시 매각하며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