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성완종 폭로, 사적감정에 의한 보복성격 강하다"
"문재인에 대한 검찰 수사 주장, 정치적 비약"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16일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과거 참여정부 당시 두 번의 특별사면을 받은 것을 두고 당 내에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검찰 수사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제기되는 것과 관련해 “정치적 비약이다. (정치적으로) 과도하다”고 반대했다.
하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양창욱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굳이 우리가 그런 이야기를 할 필요가 없다. 문제가 있다면 검찰 수사에서 다 밝혀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려되는 것이 새누리당 입장에서도 야당이 잘못한 거 물고 늘어지고 ‘문재인 수사 받아라’ 등 남 탓할 상황은 아닌 것 같다”며 “사실 우리 내부 문제가 더 크고, 그래서 일단 새누리당 자체가 국민들한테 사과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특히 “우리 당에 과거의 구태정치 적폐가 여전히 남아있고, 또 그런 정치관으로 현실 정치를 보는 세력이 분명히 있는 것이 확인됐기 때문에 이런 당 내부의 구태정치 혁신에 대한 의지를 당 지도부가 제시하고 환골탈태하겠다는 게 제일 중요한 것 같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현 지도부는 친박 지도부가 아니지만 어쨌든 한 당이고 공동운명체 아니겠는가”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계속 남탓만 하는 것은 국민들이 볼 때도 그렇게 보기 좋아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성완종, 공명정대한 폭로라기보다는 사적감정에 의한 보복 성격 강하다”
이와 함께 하 의원은 성 전 회장이 남긴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에 대해 “시간이 지나면서 괘씸죄에 걸린 사람들을 향한 일종의 표적 폭로가 아닌가라는 시각도 커져가는 것 같다”며 “사회 정의를 위한 공명정대한 폭로라기보다는 사적감정에 의한 보복 성격이 강한 거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렇기 때문에 좀 억울한 희생자가 나올 가능성에 대해서 생각을 좀 해봐야 된다”면서 “정치권이 리스트만을 믿고 누구를 물러가라고 하기에는 조금 시기적으로 이르지 않은가. 좀 더 객관적인 증거가 나와야 되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어쨌든 성완종 개인을 보면 구태정치의 전형 아닌가. 그리고 시대를 역행하려고 했지 않았는가”라고 반문한 뒤 “일종의 우리 정치에 남아있는 정치 마피아, 마지막 뿌리 남은 구태정치의 잔재라는 생각이 들고, 이런 부분을 어떻게 청산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췄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성완종 리스트에 왜 야당인사들은 없을까’라는 질문에 “성 전 회장의 정치행태를 보면 정권이 바뀔 때마다 항상 뒷돈을 갖다 줬다고 유추할 수 있지 않은가”라며 “전체 액수도 최소 30억에서 최대 150억원인데 메모지에는 15억원밖에 없다. 나머지 돈은 어디 갔는가. 나머지 돈도 정치권이 다 먹었다고 하면 성 전 회장은 상당히 편파적”이라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아울러 성 전 회장으로부터 3000만원을 건네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이완구 국무총리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다른 직은 모르겠는데 총리라는 직은 국정의 2인자이고 무게가 가볍지 않기 때문에 직을 버려라, 마라 하는 것에 대해 조금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총리의) 결백이 밝혀지고 안하고 시간이 그렇게 길지 않을 것이다. 하루 이틀 안에 입장을 빨리 정해아만 국정이 정상회되고 그러진 (않을 것)”이라며 “국정공백이 심각한 상황이고 불가피해지기 때문에 일주일, 이주일 좀 늦춰진다고 해서 큰 질적인 차이는 없다”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