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노회찬 “홍준표, 변호사 선임 별 효과 없을 듯”


입력 2015.05.08 14:24 수정 2015.05.08 14:32        문대현 기자

'CBS 라디오'서 "일반인이라면 오늘 조사받고 그냥 나오기 어렵다"

노회찬 전 정의당 대표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노회찬 전 정의당 대표는 8일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파문과 관련해 검찰에 소환된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문무일 수사팀장과 인연이 있는 변호사를 선임한 것에 대해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노 전 대표는 이날 오전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에 출연해 “목마른 자가 우물을 판다고 그 만큼 홍준표 지사가 이 상황을 어렵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변호사를 선임한 게 아닌가 보여진다”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노 전 대표는 “그러나 이것이 온천하가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되는 수사기 때문에 검찰 수사관과의 연고가 (수사 결과에) 별 효과가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라고 말했다.

이어 “홍 지사가 ‘성완종 리스트가 정치적 올무일 수도 있다. 이번에는 팻감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밝힌 것에 대해 “그것 자체가 표적수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식으로 물타기를 하는 자기 변명의 방어논리가 아닌가 생각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심지어 홍 지사는 ‘돈의 전달자로 지목이 된 윤 모 부사장이 대선, 총선 때도 돈 심부름을 했을 것이다’라고 했다”며 “굳이 대선 이야기까지 꺼낸 것은, 경우에 따라서 자기가 알고 있는 걸 다 밝힐 수도 있다는 대단히 위협적인 발언”이라고 전했다.

노 전 대표는 “‘왜 나만 건드리느냐’며 성완종 전 회장이 억울해 한 것과 비슷한 방식” 이라며 “홍 지사의 경우에는 ‘액수도 적은 왜 나만 건드리느냐. 내가 힘이 없으니 나를 팻감으로 다른 사람들을 다 방어하려고 하는 거 아니냐’는 식의 논리인데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자신의 결백을 증빙하지는 못한다”라고 주장했다.

노 전 대표는 또 성완종 파문이 한 달이 지난 뒤에야 홍 지사의 검찰 소환이 이뤄진 것을 두고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속도가 대단히 느린 것은 사실이다. 여러가지 고려와 판단과 속도조절을 한 게 아닌가 싶다”며 “지난달 재보궐선거나 대통령 순방 귀국 시점까지 수사의 속도를 조정한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은 있는데, 더 중요한 것은 홍 지사의 수사 처리 방식”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무엇보다도 증거인멸 시도는 분명히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단히 용납하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 엄격한 수사가 병행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상식적으로 봤을 때는 이것이 지금 의혹 당사자인 홍 지사가 지시했다고 일반적으로 보여지는데 여기에 대해서 검찰이 수사가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된다”라고 강조했다.

‘망자의 증언이나 메모는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는 홍 지사의 주장에 대해서는 “검사 출신이 할 이야기는 아니라고 본다. 사법부가 증언의 능력이 있느냐 없느냐를 판단할 문제지 망자의 발언이기 때문에 무조건 효력을 갖지 못한다고 볼 수는 없다”며 “오히려 망자의 증언이기 때문에 망자가 불리하다. 그러나 여러 가지 정황 증거나 직접적 증언들이 많기 때문에 빠져나오기 쉽지 않을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리스트에 거론된 8명 중 첫 소환 대상자가 홍 지사인 것을 두고 정치적 맥락이 작용한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성 전 회장의 메모에 돈을 준 사람이 명확하게 적시된 것은 홍 지사이기 때문에 먼저 도마 위에 오르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이걸 다른 정치적 배경이 있는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은 일종의 홍 지사측의 방어막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박근혜 대통령이 수사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식으로 개입하는 것은 불필요한 오해를 자초한 일이기 때문에 삼가야 한다”며 “8명 중 다수가 관련돼 있고 액수로 보더라도 다수 금액이 연관된 것이 불법 대선자금 관련이다. 이 부분에 대한 수사를 제대로 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특검으로 가느냐 안 가느냐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 허태열 전 대통령 비서실장, 유정복 인천시장이나 또는 (서병수)부산시장으로 명기된 부분도 공소시효가 남아 있는 부분이라 덮고 갈 수 없는데 현직 대통령과 연관됐다는 이유로 수사를 미루게 된다면 문제가 눈덩이처럼 커져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노 전 대표는 공무원연금 개정안 처리가 실패된 것에 대해 “전셋집을 계약 해놓고 파기를 하면 계약금의 2배를 물어줘야 하듯 합의된 것은 존중을 해야 되고, 합의는 합의에 의해서만 변경이 가능하다”라며 여야를 향해 질타했다.

그는 “합의를 그대로 통과시키되 국민연금과 관련된 부분은 논의를 더 해가면서 50%를 그대로 밀고 나갈 것인지 재조정할 것인지는 다시 합의를 하면 되는 문제”라면서 “그러나 합의 자체를 무산시킴으로써 모든 것을 원점으로 되돌리는 것은 무책임의 극치”라고 지적했다.

문대현 기자 (eggod6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