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현 "김무성 정개특위 논의 제안은 결단" 호평
"주판알 튕기며 혁신할 순 없다, 문 대표 제안도 국민에게 시원한 정치"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권역별 비례대표제-오픈프라이머리 연계’를 새누리당에 제안한 가운데, 이석현 국회부의장은 7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해당안을 정개특위에서 논의하자고 답한 데 대해 “일단 정치발전을 위한 결단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 부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확대간부회의에서 전날 김 대표의 제안을 ‘화답’으로 규정하며 이같이 말하고, “우리당의 문재인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일괄 타결하자고 제안한 건 무더위에 지친 국민에게 시원한 정치를 선물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부의장은 이어 “우리는 그간 영호남 선거결과가 딴 나라처럼 나오는 당혹감 속에서도 속수무책이었다. 이제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고 지역주의 완화를 위해 걸림돌을 극복해야한다”며 “주판알을 튕기며 혁신할 순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오픈프라이머리는 공천제도이고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선거제도이니 성격이 달라서 빅딜을 하지 못하겠다는 생각은 편협한 생각”이라며 “식물성인 인삼과 동물성인 녹용이 한 데 어우러져 보약의 약효를 상승시키듯, 서로 다른 두 제도를 동시 채택해서 정치혁신 효과가 업그레이드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향후 이 문제는 정개특위에서 여야 협상과 보완을 거쳐 진정한 정치 혁신의 양대산맥을 타고 넘길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병헌 최고위원은 “공천제도는 각 당의 문제이고 선거제도는 여야 협상의 문제임데도 선거제도 개혁을 위해 우리당 대표가 이 두가지 안을 같은 테이블에 놓고 협상하자는 건 대폭적인 양보”라며 “시간이 많지 않은데 정개특위로 미루는 건 사실상 이를 거절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매우 유감스럽고 김무성 대표의 즉각적 화답을 촉구한다”며 “향후 정치일정의 촉박함을 고려해서 정치적 협상을 통해 이 문제를 일괄타결할 것을 다시한번 강조한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