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D "올 하반기부터 OLED 집중 투자...2018년까지 10조"
'LCD 생산 20주년 기념 디스플레이 중장기 전략발표회'개최
한상범 사장 "대형 OLED 세번째 공장 증설 투자 검토"
LG디스플레이가 올 하반기부터 투자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중심으로 전환한다. 오는 2018년까지 대형 OLED를 중심으로 프리미엄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을 포함해 총 10조원 이상의 투자를 단행할 계획이다.
한상범 LG디스플레이 사장은 17일 경기도 파주 LG디스플레이 공장 게스트하우스에서 'LCD 생산 20주년 기념 디스플레이 중장기 전략발표회'를 갖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중장기 투자 계획을 밝혔다.
한 사장은 OLED를 향후 디스플레이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로 정의한 뒤 OLED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세 번째 생산라인 증설 등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LG디스플레이는 이미 경기도 파주공장에서 4.5세대 중소형 OLED 패널을 생산하고 있으며 8세대 OLED 라인(E3·E4)에서 월 3만4000장 규모의 대형 패널도 생산하면서 OLED 패널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그는 "올 연말까지 두 번째 OLED 생산라인(E4)을 풀 가동 체제로 전환하고 세번째 공장 투자에 나설 것"이라며 "투자 형태와 규모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사장은 OLED의 투자에 대한 높은 비용과 낮은 수익성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내비쳤다. 대형 OLED의 경우, TV시장 외에 커머셜 등 신 시장을 개척해 고객을 확보하면 충분히 승산이 있는 게임이라는 것으로 내년부터는 충분히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수율은 풀HD(FHD)급은 이미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온 상태로 연말까지 울트라HD(UHD)급도 이에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사장은 "회사의 연간 평균 경상투자 규모가 약 1조원 정도였던 점을 감안하면 오는 2018년까지 10조원 투자 규모는 몇 배에 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산업계의 OLED에 대한 의구심을 없애기 위해서라도 적극적인 투자에 나설 것"이라며 "OLED 시장은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있으며 시장은 개척하는 자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LG디스플레이는 프리미엄급 대형 LCD 투자도 계속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중국업체들이 상당히 추격해 오긴했지만 아직까지 경쟁력이 있다는 판단으로 10세대 이상 투자도 고려 중이다.
한 사장은 "현재 8세대 체제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만 수익성과 원가경쟁력을 감안해 10세대 이상 투자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도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의사를 밝혔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과거 LCD 분야에서 우리가 일본을 추월한 것은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 의지와 정부의 적기 지원이 결합된 결과였다"면서 "향후 OLED에서도 국내 기업들이 퍼스트무버(First Mover)가 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OLED가 미래 디스플레이 산업이라는 것은 모두 알고 있는 만큼 우리가 앞서 있을 때 보다 과감한 투자를 통해 후발주자들의 추격의지를 꺾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지원은 크지 않더라도 기업의 연구개발(R&D) 등 투자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다“며 ”기업에게는 정부가 함께 간다는 신뢰 차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