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회장 "10년간 3개 반도체 공장에 46조 투자"
세계 최대 M14라인 준공식...월평균 3000장 웨이퍼 생산능력 갖춰
M14에 15조, 나머지 2개 공장 구축에 31조 투입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경영복귀세계로 신규 투자에 추진력을 얻은 SK하이닉스가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메모리 반도체 생산에 나설 계획이다.
최 회장은 25일 경기도 이천 본사에서 개최된 ‘M14 준공 및 미래비전 선포식’에서 “총 46조원을 투자해 M14외에 국내에 두 개의 반도체 공장을 더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M14구축에는 15조원, 나머지 두 공장의 구축에는 31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SK는 향후 10년간 M14를 포함해 세 개의 신규 공장을 추가로 건설한다는 것이다.
이어 최 회장은 “총 15조원의 M14공장은 올해 말 월 3000장의 웨이퍼 생산능력을 갖춘 후 점진적으로 생산량을 확대하며 확고한 경쟁우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최 회장의 반도체에 대한 애정은 남다르다. 2012년 당시 내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적자에 허덕이는 SK하이닉스 인수를 밀어붙였다. 인수 후에도 경기침체로 대부분의 반도체회사들이 투자액수를 줄일 때, 최 회장은 전년대비 10% 투자규모를 늘려 경쟁력을 강화했다. 그 결과 지난 2년간 사상 최대 실적을 연이어 달성할 수 있었고, SK하이닉스는 미래를 위한 M14를 성공적으로 건설할 수 있게 됐다.
특히 D램 가격이 하락하는 등 어려운 상황이지만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산업에서 혁신적인 투자를 통해 시장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최 회장은 지난 17일 열린 ‘SK그룹 확대 경영회의’에서도 경영위기 극복과 경제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와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투자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M14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지로 건설이 가능할 수 있었던 규제합리화의 대표적인 사례다. SK하이닉스는 앞으로도 정부, 지자체 등 관련 당국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신규 공장을 건설해 국가경쟁력 강화와 경제활성화에 보다 더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최 회장은 “지속적인 혁신과 사람에 대한 투자로 중장기 경쟁력을 강화해 국가 대표 기업으로서 국민의 기대와 성원에 보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