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청 염려 없다” 네이버 라인, 종단간 암호화 도입
스마트폰, PC에 종단간 암호화(E2EE) 적용
메시지 완전 삭제하는 기능은 지난 8월 도입
네이버는 자사 글로벌 모바일 메신저 ‘라인’에 이용자 정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자동으로 종단간 암호화(E2EE)를 적용하는 레터실링 기능을 추가했다고 13일 밝혔다.
레터실링은. 안드로이드 및 iOS 기반의 스마트폰은 물론, 세계 최초로 윈도, 맥 OS X 기반의 PC에서 주고받는 메시지에도 적용된다. 라인 5.3.0 이상의 버전 사용자라면 누구나 ‘설정’ 메뉴의 대화-통화 항목에서 레터실링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단말에서만 라인 계정을 사용한 이용자들은 현재 레터실링 기능을 자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번 기능 추가로 인해 라인은 기존 타이머챗 뿐 아니라 일반 채팅 시에도 종단간 암호화를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됐다. 레터실링은 우선 1:1 대화 메시지와 위치 공유를 대상으로 하며, 점차적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레터실링이 활성화된 이용자 간 대화 진행 시, 단말 기기나 PC에서 전송된 메시지는 해당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키에 의해서만 해석할 수 있는 암호의 형태로 전송된다. 서버나 통신망 등을 통해 메시지가 공개되는 것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라인은 메신저에서 삭제한 대화 내역에 다른 데이터를 덧씌워 기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도록 하는 ‘트루 딜리트’ 기능을 지난 8월 도입한 바 있다.
라인은 2013년 3월부터 SOC2, SOC3 글로벌 인증을 유지하며 개인정보 관리체계 및 내부 통제 수준의 우수성을 검증받았다. 2014년 8월에는 ‘타이머챗’ 기능을 도입해 종단간 암호화를 적용한 메시지 송수신을 가능토록 한 바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