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한달만에' 포털 토론회 재개, 편향성 논란은?
새누리당이 19일 ‘포털의 미래를 논하다’를 개최해 네이버·다음 등 대형 포털들의 뉴스편집 공정성 논란이 재점화될 것으로 보였으나 공정성 문제보다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부각하는 모습을 보였다.
당초 이날 토론회는 지난 9월16일 열렸던 정책토론회 ‘포털뉴스의 오늘과 내일’을 하루 앞두고 돌연 불참을 통보했었던 유봉석 네이버 플랫폼센터장과 이병선 다음카카오 대외협력실장이 참석하기로 해 포털의 공정성에 대해 의견을 들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막상 열린 토론회는 기존 내용을 반복하는 수준이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축사에서 “이제 포털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것이 수순”이라며 “오늘 토론회에서 포털의 미래적 측면과 산업적·사회적 측면에 대한 건설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기 바란다”고 말했다.
포털의 공정성 부분과 관련해 언급된 것은 “포털은 독점적 지위구조로 뉴스편집을 하기 때문에 여론형성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말한 것이 전부였다.
김 대표는 이날 축사 후 기자들과 만나서도 “제가 저번에 강력하게 문제제기 한 이후에 포털이 자체적으로 노력을 하고 바뀌어가고 있다”면서 포털과의 관계가 좀 나아진 것이냐는 질문에 “같이 고민해야할 시기가 왔다”고 했다. 한 달 전 토론회에서 포털 뉴스의 편집편향성에 대해 ‘악마의 편집’, ‘기울어진 운동장’등을 언급한 것에 비하면 상당히 톤을 낮추 셈이다.
토론회를 공동주최한 이재영 의원도 “오늘 토론회는 사회적 상생의 가치를 창출하는 자리라는 것에 큰 의미를 둔다”며 “대기업인 포털들은 걸맞는 책임과 행동을 취할 때가 됐다”고 말해 포털뉴스의 공정한 편집보다는 포털 산업과 관련한 미래의 정책에 방점을 뒀다.
토론회에서도 포털뉴스 편집의 편향성에 대해서 논하기 보다는 포털산업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뤘다. 유봉석 네이버 플랫폼센터장은 “네이버가 사회적 책무를 등한시 한 것은 아니고 나름대로 했는데 미진했다고 본다”며 “이 자리를 통해 그 부분에 대한 앞으로의 활발한 논의가 일어나면 좋겠다”고 밝혔다.
유 센터장은 편집의 편향성과 관련한 지적에 대해서도 “다양한 논조와 시각을 제공하는 것이 중립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생각한다”면서 “더 노력을 해보겠다”고 의례적인 답변을 했다. 그는 인링크와 아웃링크 방식으로 인한 국내와 해외 포털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 “국내 포털들의 서비스방식을 해외 업체가 따라오고 있다”며 “(이에 대해) 잘 생각해봐야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인링크는 기사를 포털내에 전재해 언론사 페이지를 가지 않고 포털내에서 보는 서비스, 트래픽을 포털이 차지하고 광고 수익도 포털이 차지하는 방식이고 아웃링크는 포털은 기사에 대한 검색만 해주고 기사 내용을 보려면 해당 언론사 홈페이지를 방문해야하는 방식이다. 구글 등 해외 포털은 아웃링크 방식을 선호하는 반면 네이버와 다음은 인링크 방식을 사용해 트래픽을 포털이 독점하고 있다.
한편 이병선 다음카카오 대외협력실장은 “포털의 편집이슈, 정치적 편향성, 제목 수정, 선정성 등 제기된 문제에 대해서는 균형 잡힌 목소리가 나온 것 같다”고 토론회를 평가하고 “많은 논란들이 균형 있게 짚어지면서 생산적인 결과가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