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복 “현 역사교과서는 독극물” 주진오 “북 과대평가”
여야, 같은 날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 두고 각각 간담회와 토론회 개최
정부의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시도로 정계와 학계 모두 거센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여야가 22일 나란히 교과서 관련 토론회를 개최했다. 다만 새누리당은 “현재 역사교과서는 독극물”이라며 신속한 국정화를 촉구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좌편향 교과서라는 말은 정부여당의 매카시즘 공세”라며 반박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올바른 역사교육, 원로에게 듣는다' 간담회에서 "역사교육이 잘못되면 우리 역사가 왜곡될 수 있다"며 “대한민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140여개 국가 중 유일하게 산업화와 민주화를 성공시킨 자랑스러운 역사를 일궈낸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편향되고 왜곡된 역사교과서 때문에 기회주의가 득세하고 정의가 패배한 역사라고 우리 아이들이 배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이어 "현행 역사교과서에는 천안함 폭침 사건 등 북한 도발에 대해서는 단 한줄도 서술이 없는 교과서가 대부분"이라며 "올바른 역사교과서, 균형이 잡히고 국민 통합을 지향하는 교과서는 우리가 필요한 게 아니라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필요한 일인 만큼, 새누리당은 이 일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가 계획한 이날 간담회에는 송복 연세대 명예교수와 박세일 서울대 명예교수 등이 발제자로 참석해 국정교과서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히 송 교수는 “역사교과서를 현 상태로 두면 학생들에게 독극물”이라고 규정한 뒤, “전체적으로 현재 교과서는 반(反)대한민국, 친(親)북한적이다. 지금의 좌편향 역사교육은 학생들 뇌에다 독극물을 심어주는 것”이라며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재차 강조했다.
반면 같은날 오전 새정치연합은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진을 초청, '한국사 교과서 대표 집필진에게 듣는다' 토론회를 개최하며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의 교과서 국정화 저지 방침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토론회에 참석한 문재인 대표는 "설령 정부가 확정고시를 강행한다고 해도 굴하지 않고 집필 거부 운동, 나아가서 내년 총선으로 쟁점 삼아서 국정교과서가 폐지될 때까지 국민과 함께 이뤄나가겠다"며 “교과서 집필진에 대한 명예 훼손 역시 사과를 하고 용서를 빌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 국민에게 거짓말로 선동하고 혼란을 준 점에 대해 사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발제자로 나선 천재교육 교과서 대표 집필자 주진오 상명대 교수는 "지금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는 그들(보수진영)의 요구가 100% 반영된 책"이라며 "교과서 맨 마지막 페이지에는 검정심의회 검정위원과 연구위원, 그리고 국사편찬위원회와 교육부 관계자 이름이 다 들어 있는 것만 봐도 충분히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 교수는 또 "주체 사상에 대해 지금처럼 서술하도록 교육과정에 명시해 놓은 것이 교육부다. 그렇게 쓰지 않으면 불합격"이라고 설명한 뒤, “교과서가 북한 책을 베꼈다는 지적 역시 말이 안된다. 대한민국에 얼마나 많은 연구 성과들이 나와 있는데 집필자들이 북한의 1950년대, 1980년대 나온 책을 베낀다는 말인가. 이것이야…말로 대한민국을 무시하고 북한을 과대평가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비상교육 교과서 대표저자인 도면회 대전대 교수는 "분단의 책임이 남한에 있다는 표현을 사용한 적이 없고, 본문에서 그와같이 해석될 만한 표현 역시 사용한 적 없다"고 반박했다. 이어 북한의 주장을 그대로 서술했다는 지적에 대해 "'본문'이 아니라 '참고 자료'로 소개하는 것을 가지고 문제를 삼는데, 주체사상에 대한 비판은 이미 본문에 그대로 실려있다”고 말했다.
한편 새정치연합은 이날 오후 3시로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간 5자 회동에서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문제를 주요 의제로 제기하고, 이를 반대하는 역사학자들과 학부모들의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