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가 50대보다 유방암 발생률 2.4배 높아...왜?
생활환경 변화와 빨라진 초경나이로 에스트로겐 노출 기간 길어져...
20대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이 50대에 비해 2배 이상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한국유방암학회(이사장 한세환)가 10월 '유방암 예방의 달'을 맞아 1996~2012년 사이 우리나라 유방암의 현황과 전망 분석 결과를 보면 2012년에만 1만 7792명의 유방암 신규환자가 발생해 16년 사이 5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인구 10만 명당 유방암 환자 수는 70.7명을 기록하고 있다.
학회는 또 전국에 거주하는 20~50대 여성 1000명(연령대별 각 250명)을 대상으로 유방암에 끼치는 요인을 조사, 유방암 발생률을 예측했다.
그 결과 현재 50대 여성이 74세까지 생존 시 유방암 발병률은 3.14% 반면 20대 여성이 74세까지 생존 시에는 7.42%로 약 2.4배 이상 유방암 발생률이 높았다.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는 20~30대 생활환경 변화가 꼽혔다. 학회는 "젊은 층일수록 유방암의 원인 중 하나인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의 노출 기간이 길어질 수 있는 요인을 다수 가지고 있었다"고 전했다.
학회가 꼽은 요인은 '빨라진 초경'나이로 20대 중 23.6% 이상이 13세 미만에 초경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초경이 빨라진 20~30대가 낮은 출산율과 모유수유 미룰 경우 유방암 발병은 증가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유방암 예방을 위해서는 30세가 넘으면 매월 유방 자가검진을 하고 35세 이후에는 의사에 정기적인 임상 검진을 받아야 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