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확정고시 앞둔 교육부, 홍보용 웹툰 '또' 삐끗


입력 2015.11.02 18:09 수정 2015.11.03 13:31        하윤아 기자

교육 전문가 "불거진 문제 사실은 교육부 책임" 교육부 전략 미흡 비판

올바른 교과서의 필요성을 강조한 교육부의 홍보용 웹툰이 논란을 낳고 있다. 교육부 페이스북 화면캡처.

국정교과서 추진 태스크포스(TF)팀 운영 논란으로 한 차례 역풍을 맞은 교육부가 이번엔 홍보용 웹툰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야당은 물론 일부 지자체장까지 교육부가 공개한 웹툰을 문제 삼고 나서면서 당장 3일 고시 확정을 예고한 교육부가 또 다시 논란을 불러일으킨 모양새다.

현재 야당을 비롯한 국정화 반대 세력은 '웹툰의 내용이 사실이라면, 그런 문제가 있는 검정 통과시킨 교육부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처벌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불필요한 꼬투리를 잡고 있다.

교육부가 국민들을 설득시키기보다 되레 의아하게 만드는 행보를 계속 보이고 있어, 교육부 스스로 자충수를 두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2일 '데일리안'에 "교과서와 관련해 지금까지 문제가 불거지게 된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교육부의 책임이 있다"며 "실질적으로 전임 서남수 장관 당시 검정체계가 문제가 됐다면 세밀하게 고치고 엄격하게 해서 지금과 같은 논란에서 벗어났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 교수는 "전반적으로 큰 틀을 가지고 역사 교과서와 관련해 일관성있게 조율하는 컨트롤타워가 있어야 하는데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교육부는 발표만 해놓고 이슈를 끌고나가거나 리드해나가는 모습에서 소극적이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평했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교육부의 전략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 교육부가 할 가장 중요한 것은 수세적 입장에서 독재 교과서나 정부 입맛에 맞는 교과서라는 주장에 대한 반대논리로 대응하기보다 앞으로 우리의 교과서가 어떤 형태로 가고 어떤 내용에 주안점을 둘 것인지를 적극적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종철 청년지식인스토리K 대표 역시 본보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정제로 가는 과정에서 정부가 얼마나 국민들을 설득할 수 있느냐다"라면서 "그러나 교육부가 내놓은 홍보자료가 극히 감정적이고 과한 표현을 담고 있어 국민들이 보기에는 저급한 논쟁으로 흘러간다는 느낌을 받도록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 대표는 "웹툰의 서두에서 꺼낸 주체사상 내용은 사실 결론적으로 보면 팩트의 문제에서 의문을 제기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좀 더 그 전말이나 근거가 필요하고, 궁극적으로 '균형된 역사관, 자랑스러운 대한국의 역사를 가르쳐야 한다'는 공감을 보다 정교하게 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국정제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점을 국민들이 정확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데 교육부가 근거를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계속 공격의 빌미만 주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교육부의 홍보용 웹툰에 대한 야당의 비판보다 더 큰 문제는 일반 국민의 여론이다. 2일 오후 5시 현재 웹툰이 게재된 교육부의 SNS에는 총 3700여개의 댓글이 달렸다. 그러나 웹툰의 내용에 대한 공감보다는 그에 비판하는 댓글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교육부의 게시글 바로 아래에는 "저게 사실이라면 교과서 검정해준 교육부장관부터 국보법 위반으로 신고해야되는 것 아닌가요? 지금 올린 이 자료를 근거로 신고해도 되지요?"라는 한 네티즌의 댓글이 달렸고, 3700여명이 해당 댓글에 '좋아요'를 눌러 공감을 표했다.

이밖에도 "자기들이 검정해놓고는 종북교과서라고 만화만들고 있으면 뭐하자는 건지", "이 만화 논리대로라면 교육부 장관부터해서 깡그리 이적행위로 수감시켜야하는 것 아닌가", "누가보면 북한에서 가져온 교과서인 줄 알겠다" 등 비판 댓글이 상당수 올라와 있다.

하윤아 기자 (yuna1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하윤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