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빗발치는 항의에 김만복 뒤늦게 출당 수순
'팩스 입당' 논란 속 김만복 윤리위 회부키로
새누리당은 최근 '팩스 입당' 논란을 빚은 김만복 전 국가정보원장에 대한 징계 절차를 밟기로 했다.
황진하 사무총장은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팩스를 통해 부산시당에 입당한 김 전 원장이 지난 10.28 재보궐선거에서 새정치연합 후보를 지원하는 등 당원으로서 해선 안 될 일을 했다는 제보가 잇따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황 총장은 "(김 전 원장의) 입당 조치를 내린 서울시당은 부산시당으로부터 자료를 받아 오는 10일 윤리위원회를 개최할 것"이라며 "중앙당에서는 서울시당의 결과를 받아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여정부에서 국정원장을 지내며 친노 인사로 알려진 김 전 원장은 지난 8월 27일 서울 광진을 새누리당 당원협의회에 팩스를 통해 입당원서를 내고 당원 자격을 획득한 후 재보선에서 야당 후보를 지원하는 등 기이한 행보를 펼쳐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최고위에 앞서 진행된 초재선 의원 모임 '아침소리'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됐다. 하태경 의원은 "김 전 원장 입당 논란 이후 (우리 당에서는) 열린 정당인 새누리당에 미래가 있다고 했다가 하루만에 말을 뒤집는 망신을 당했다"고 언급했다.
하 의원은 "당헌당규에 부실한 부분이 있다. 문제가 심각한 출마 예정자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일이 생길 수 있다"며 "이를 거를 수 있는 장치가 전혀 없는데 출마 예정자에 대한 입당 절차가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종훈 의원도 "가입 신청이 있으면 다 받을 수 밖에 없다"며 "다만 누구나 알 수 있는 사람은 확인 할 수 있는 절차가 필요하다. 당원 가입이 됐는데 사후 문제가 발견되면 출당시킬 수 있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노근 의원은 "김 전 원장이 신분을 공개하지도 않은 상황에서 당에 가입했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며 "새누리당에 가입했으면 사상적 전환이 있지 않나 생각했는데 가입하고도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인사들과 접촉하는 것이 관찰됐다"고 꼬집었다.
이 어 "본인의 정치적 소신을 위장해서 온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출마를 준비하면 떳떳하게 알리고 해야하는데 그런 절차를 생략하고 있다"며 "출마하려는 하나의 편법이 아닌가 생각된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정원장까지 지낸 사람은 일종의 자산인데 정치권에 뛰어든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해당 행위자에 대한 제재를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