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지지율...서울서 하락 '폭력시위가...'
<데일리안-알앤써치 '국민들은 지금' 정기 여론조사>
서울지역 국정운영 부정평가 전주대비 16.3%p 상승
서울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평가가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가 지난 14일 서울 도심에서 열린 '민중총궐기' 집회 직후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이번 시위가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18일 데일리안이 알앤써치에 의뢰해 조사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지역에서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평가가 전주(44.8%) 대비 16.3%p 상승해 61.1%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강원과 제주의 여론조사도 부정평가가 전주(26.0%) 대비 16.0%p 상승해 42%를 기록했다. 전체 국정운영 지지율은 전주 대비 1.6%p 하락한 45.0%를 기록했고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2.1%p 상승한 51.4%를 기록했다.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서울지역의 부정평가가 유독 이번주에 큰폭으로 상승한 이유는 조사 전날 있었던 '민중총궐기' 집회와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다. 이날 집회는 '폭력 집회'로 변질되면서 일반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끼쳤다. 이를 막지 못한 것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박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형성한 것으로 평가된다.
즉 정부가 불법 시위에 대해 강력한 대응을 하지 못한 것이 시민들에게는 정부의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이란 의미로 비쳐지고 있다는 것이다. 누군가는 이번 불법 집회에 대해 책임을 져야되는데 그 중심에 정부의 책임이 있다는 해석이다.
김미현 알앤써치 소장은 통화에서 "이번 조사가 '민중총궐기' 집회 이후에 진행됐다는 점을 주목해야 된다"며 "집회에 대한 시민들의 부정적인 인식이 그 집회를 막지 못한 정부의 책임으로 돌려지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 소장은 특히 "불법 집회에 대한 비난이 시위대를 향한다기보다 정부의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 이런 불편한 집회를 처음부터 막지 못한 정부 등에 돌려지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5일과 16일 이틀간 전국 성인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유무선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 추출은 성, 연령, 권역별 인구 비례를 할당해 추출했고 95% 신뢰수준에 표본 오차는 ±3.1%다. 응답율은 유선 3.4%, 무선 4.1%이고 통계보정은 10월말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