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시민단체, 민중총궐기에 '뿔났다' 고발 이어져
"민주주의의 탈을 쓴 반국가적 폭력행위를 강력히 규탄"
18일 탈북자단체들로 구성된 자유통일청년연대가 지난 14일 ‘민중폭력시위’로 변질된 민중총궐기의 주동자들을 검찰에 고발하고 나섰다. 이처럼 ‘폭력시위’를 규탄하는 보수시민단체들의 고발이 연이어 이어지고 있다.
자유통일연대는 18일 서울중앙지방 검찰청 앞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열어 “과도한 폭력이 난무한 불법집회로 변질된 이번 ‘민중총궐기대회’는 명백한 불법시위이자 자유민주주의를 파괴하려는 반국가적 행위”라며 “민중총궐기투쟁본부 지도부를 집시법 위반 및 폭력에 관한 법률에 의거 강력히 처벌할 것을 바라며 검찰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이날 과거 북한 정치범 수용소 경비병 출신인 자유통일청년연대의 안명철 NK워치 대표는 ‘데일리안’에 “북한체제의 억압과 감시 속에서 생존과 자유를 위해 대한민국에 온 우리 3만 명의 탈북자들은 북한이 원하는 것들을 요구하며 공권력에 폭력을 행사하는 시위대를 보면서 어렵사리 얻은 자유를 또 잃게 될까봐 불안하고 겁이 난다”며 “민주주의의 탈을 쓴 반국가적 폭력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집회 당시 '이석기 석방'을 외치던 집회 주동자들이 주로 요구한 것은 '국가보안법 폐지'나 '미군철수' 등 모두 북한의 주장으로, 이 때문에 북한이 이번 집회를 모니터링하고 조장했다는 설도 떠돈다는 설명이다.
이어 안 대표는 “우리 탈북자들은 여기와 자유의 소중함과 민주주의를 어떻게 지켜가야 하는지 알아가는 사람들”이라며 “북한이 원하는 것 편에 서서 폭력적으로 공권력에 돌진하는 것을 보며 가만있을 수 없었다”고 심경을 밝혔다.
이들은 고발장을 제출하며 “평화적인 시위가 돼야 할 현장에 쇠파이프가 등장하고 복면으로 얼굴을 가린 폭도들이 등장해 경찰을 폭행하고 경찰버스를 부수는 등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찾아볼 수 없는 폭력적인 행위가 벌어졌다”며 이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거듭 촉구했다.
앞서 지난 16일 교육과 학교를 위한 학부모 연합(교학연)도 검찰에 이 같은 내용의 고발장을 제출하며 “폭력시위뿐 아니라 어린 학생들을 시위 현장에 내세운 것은 절대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을 학부모의 이름으로 보여주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이번 폭력시위에서 고등학생 3명이 경찰에 연행됐다. 이들이 과연 노동법에 반대하고 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논리를 가지고 참가해 폭력을 휘둘렀을까”라며 “이들은 좌편향된 교사들의 세뇌에 영혼을 도둑질 당했거나 교사들의 유혹에 넘어간 희생양들”이라고 호소했다.
이어 이들은 “전교조라는 노동교육자들이 교육을 전담한 후부터 우리 아이들은 조상들이 쌓아놓은 빛나는 역사를 경멸하고 국가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무국적 이방인들이 됐다”며 “우리 학부모들은 더 이상 우리 아이들이 좌편향 된 교사, 전문 시위꾼들의 홍위병으로 맑은 영혼을 도둑질당하는 것을 볼 수 없다. 학부모의 이름으로 이를 주도한 자들을 법의 심판대에 세울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보수시민단체인 바른사회시민회의(바른사회)도 성명을 내고 “쇠파이프와 각목, 횃불 등으로 폭력시위를 조장한 이들은 시위 현장서 ‘이석기 석방’ 등의 구호를 외치며 사실상 반정부 투쟁대회로 확대해 갔다”며 “정부는 이번 불법시위를 주도한 전문시위꾼들을 끝까지 추적해 엄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바른사회는 “향후 불법시위자들을 처벌하는 과정에서 정부나 사법부의 관용적인 태도는 제2, 제3의 민중총궐기 시위를 부를 수밖에 없다”며 “미온적인 솜방망이 처벌 관행에서 벗어나 강력 처벌할 것을 요청”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나라를 사랑하는 원로모임, 국민통합시민운동, 좋은 교과서 만들기 시민연대, 헌법수호국민운동본부, 한국시민사회운동연합 등 보수시민단체들은 잇따라 성명을 내고 “정부는 대한민국의 법치주의가 살아있음을 보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우리는 국민의 정당한 권리와 의무에 기반해 민주적이고 합법적으로 국민으로부터 권력을 위임받은 정부에 대해 다음과 같이 고한다”며 “폭거 주모자와 주도세력에 대해 △엄정한 법의 잣대로 처리 △즉각적인 체포와 구속집행 △이번 폭거의 실상에 관한 진상을 낱낱이 밝힐 것을 촉구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