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CES2016]한상범 LGD 부회장 “화소구조와 해상도 상관관계 없다”


입력 2016.01.06 10:00 수정 2016.01.06 14:16        라스베이거스(미국)=데일리안 이홍석 기자

RGB만이 4K라는 경쟁사 주장 반박...M+기술 인정받아

"대형OLED 생산라인 추가 투자…경쟁력 강화로 어려움 극복할 것"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LG디스플레이
“4K 해상도를 놓고 많은 논의가 오가고 있지만 분명한 건 해상도는 화소구조와 상관관계가 없다. M+ 기술은 이미 많은 기관 및 고객사들로부터 인증을 받은 기술이다.”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 부회장은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서 개최된 ‘2016년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차별화된 엠플러스(M+) 기술이 해상도 논란에 휩싸이고 있는데 대해 안타까움을 드러내며 이같이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빛의 삼원색인 레드(R)·그린(G)·블루(B) 외에 화이트(W)를 추가해 4개의 서브픽셀로 화소를 구성하는 RGBW 방식의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W가 추가되면서 기존 RGB방식보다 적은 수의 RGB 픽셀로 많은 화소를 만들 수 있어 효율성과 소비전력 측면에서 우수한 것이 장점이다.

다만 화이트는 색이 없이 밝기만을 조절해 화질이 다소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는데 LG디스플레이는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을 통해 이를 극복했는데 이 기술에 ‘엠플러스(M+)’라는 이름을 붙였다.

하지만 경쟁사인 삼성에서는 3원색인 R·G·B 픽셀만을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외의 것은 4K(3840*2160) 해상도로 볼 수 없다는 논리인데 LG는 이미 인정받은 기술이라고 반박하고 있어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한 사장은 해상도를 정의하는 부가항목으로 화소구조를 넣자는 이야기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화소구조를 RGB로만 하자고 하는 것이 경쟁사의 주장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는 화소구조와 해상도가 관계가 없음을 감안하면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다양한 기관들에서 화소구조에 대한 내용은 많은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면서 “지난해 7월 일본 전자산업진흥협회(JEIDA)는 다른 화소 구조도 논의 범주에 포함시키자고 제안한 바 있다”며 RGB가 유일한 해법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한 사장은 올해도 패널 공급과잉 심화로 디스플레이 시장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진단했다. 보통 수요와 공급의 차가 10% 이상일 경우, 공급 과잉이라고 하는데 올해는 12~13%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경쟁력 강화와 액정표시장치(LCD) 차별화를 통해 이를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고부가가치 제품 확대와 북미 시장 안정화를 통해 2분기부터는 실적 개선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OLED의 경우, 지난해 양산과 성공 기반을 마련한 한 해 였다면 이제는 고객들을 위해 차별화된 기술과 제품에 노력해 올해를 사업을 본격화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점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대형 OLED의 경우, 지난해 8세대 OLED 패널 생산라인의 생산량을 2만6000장(유리기판 투입기준) 추가 확보해 생산능력을 총 3만4000장으로 늘린데 이어 조만간 추가 라인 투자도 결정할 계획이다.

한 사장은 “향후 2만6000장을 추가로 확보해 6만장으로 확대되면 대형 OLED에서 규모의 경제 실현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며 “여기에 OLED 중심의 P10 공장이 완공되면 중장기 플랜이 완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LCD에서도 초고화질(UHD) 비중 증대를 통해 수익성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LCD에서도 UHD 비중을 전체의 20% 이상으로 높여 나갈 계획”이라며 “현재 9만장 수준인 광저우 공장의 생산용량도 연말까지 12만장으로 늘려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UHD OLED 수율(투입된 재료에 대한 완성된 양품의 비율)이 아직 만족스러운 수준에 올라오지 못해 올해 이를 황금 수율(약 80%)까지 끌어 올리는데 집중해 나갈 계획으로 아울러 OLED 생태계 조성에도 힘써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 사장은 “UHD LCD는 황금수율을 넘었고 풀HD(FHD) OLED도 황금수율 근처에 와 있는데 UHD OLED는 올해 말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중국은 물론 일본과 유럽지역의 고객군을 더욱 확대해 OLED 개발과 판매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에코시스템(Eco-System)의 구축을 통해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