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등 71개국 분석…기업 성장이 소득증대 이끌어
성장 친화적 기업정책으로 패러다임 전환...장기저성장 극복해야
기업이 1% 성장하면 1인당 국민소득(국내총생산·GDP)이 약 0.6%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업의 성장은 소득증대와 분배개선을 유인하기 때문에 성장 친화적 기업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17일 '자본주의 신 경제발전론: 기업부국(企業富國) 패러다임'이라는 제하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는 기업의 자산이 증가하면 국민소득이 상승하고 소득불평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71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1인당 기업자산이 1% 증가하면 1인당 GDP가 약 0.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인당 기업자산 1%가 증가할 경우 소득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가 약 0.016 감소했다.
한경연은 '동반성장론’과 '소득주도성장론’ 등과 같은 변종 성장론이 저성장의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기업이 성장해야 일자리가 창출되고 소득증대와 분배개선이 이뤄지기 때문에 기업의 성장이 곧 ‘포용적 성장(inclusive growth)’”이라고 주장했다.
이태규 한경연 미래전략실장은 “‘경제민주화’와 같은 성장 역행적인 기업정책은 현재 우리나라가 겪고 있는 장기 저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중 하나”라며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해 투자규제와 진입규제를 없애고 경쟁압력과 성장유인을 강화하는 등 성장 친화적 기업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저자인 좌승희 전 한국경제연구원장도 “현재 보호일변도의 중소기업 정책은 문제가 있다”며 “성과를 내는 중소기업이 지원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좌 원장은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성장하는 성공신화를 많이 만들어내 모든 중소기업들이 정부의 보호막 아래 안주하지 않고 성장을 위한 경쟁의 대열로 나서게 만드는 중소기업 육성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