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한경연 "쟁의행위 기간 중 대체근로 허용해야"


입력 2016.03.21 09:33 수정 2016.03.21 09:40        김유연 기자

"기업 대항수단 없어…노동시장 양극화의 원인"

쟁의행위 기간 중 대체근로를 금지하는 우리나라의 법제도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21일 '쟁의행위 기간 중 대체근로 금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는 쟁의행위 기간 중 중단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사업과 관계없는 근로자를 채용하거나 대체할 수 없고,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를 도급·하도급으로 줄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기업의 쟁의대항 행위가 제한 없이 허용될 경우 근로자의 쟁의권 행사의 본질적인 내용이 침해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경연은 "노조의 파업에 대해 적극적인 대항수단이 없는 기업은 조업 손실을 막기 위해 부당한 요구까지 들어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기업의 실효성 있는 쟁의대항 행위가 없다는 점이 노동시장 양극화 현상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의 경우 과도한 근로조건을 관철시키기 위해 파업을 남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제도적 대항수단이 없다보니 기업이 노조의 부당한 요구를 수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 간의 격차가 더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의 경우 쟁의행위 기간 중에 임시파견근로자 사용은 금지하고 있지만 단기근로자를 직접 고용하는 것은 허용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쟁의행위 중 신규채용이나 대체근로를 금지하는 규정은 없다. 비조합원이나 근로 제공 희망자가 파업으로 중단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 근로자 신규채용이나 제3자에게 도급·하도급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

미국도 사용자가 파업 중인 근로자를 대신해 대체 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다. 경제적 파업의 경우 사용자는 파업 중인 근로자를 대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의의 영구적인 대체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 파업 근로자는 그 시점에 복직할 권리를 보호받지 못한다. 또 경제적 파업과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파업의 경우 임시적 대체근로가 모두 가능하다.

김희성 초빙연구위원은 "우리나라와 달리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미국에서는 부당한 요구를 관철시키려는 파업을 줄이기 위해 일정 요건에 따라 대체근로를 허용하는 등 노사 간 대등한 대응수단을 보장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법제도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으므로 시급하게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유연 기자 (yy9088@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유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