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선, 진영 대항마로 출전?…영향력 ‘글쎄’
새누리 지도부 중심 ‘용산 재배치설’ 솔솔
진박 마케팅 피로도 등 영향력 발휘 불투명
새누리당이 ‘진영 대항마’로 ‘조윤선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새누리당은 몇 안 되는 서울 한강이북 지역구인 용산이 더불어민주당 깃발로 바뀌자 주자를 조윤선 전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거론하고 있다. 그의 출마가 현실화 될 경우 박근혜 정부에서 요직을 맡은 전·현직 친박 인사의 대결이 성사된다. 하지만 조 전 수석의 용산 출마가 표심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20일 조 전 수석 구하기에 나섰다. 이들은 이날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서울 서초갑 경선에서 이혜훈 전 새누리당 의원에 패배해 낙천한 조 전 수석을 다른 지역구에 투입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조 전 수석의 ‘구제 장소’로는 용산이 가장 유력하다. 해당 지역은 여성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됐다. 또 다른 여성우선추천지역인 대구 수성을도 거론되지만, 용산에서 내리 3선을 한 진 의원에 필적할 만한 인물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용산이 가장 심도 깊게 논의되고 있다.
‘친박계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은 기자들과 만나 “조 전 수석이 영점 몇 퍼센트 차이로 떨어졌다. 너무 아까운 인재이니 최고위원단 이름으로 다른 지역에 투입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공천관리위원회에 전달했다”며 “용산이 지금 비어있으니 제일 가능성이 있겠지만, 공관위에서 어떻게 결론을 내리는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김태호 최고위원도 “(조 전 수석의 공천 탈락이) 굉장히 아쉬운 만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자는 데 만장일치로 의견을 모았다. 갈 수 있다면 용산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황진하 사무총장도 “조 전 수석이 상당히 소중한 인재니까 잘 활용해보자는 의견을 최고위에서 공관위가 검토해보라고 했다. 용산으로 얘기가 나왔지만 공관위에서 토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조 전 수석은 이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당의 승리를 위한 전략공천인 만큼 ‘진박’으로 불리는 조 전 수석이 제안을 거절하진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조 전 수석이 친박계 인사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고, 경쟁력이 있는 만큼 용산만 내리 3선을 한 진 의원의 대항마로 적절하다는 의견이다.
김용철 부산대 교수는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진 의원이 더민주 타이틀을 가지고 출마했기 때문에 진박으로 통하는 조 전 수석이 출마할 경우 접전 양상을 보일 것”이라며 “새누리당 지도부도 그러한 분석을 통해 용산을 거론하고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다만 조 전 수석의 용산 출마를 낙관적으로 바라보지 못하는 시각도 있다. ‘진박 마케팅’에 대한 국민적 피로도가 쌓여 있고, 친박계 인사들이 지역 터줏대감에게 고배를 마신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조 전 수석의 서울 서초갑 경선 패배도 같은 맥락으로 분석된다. 진 의원은 지역구 관리를 잘 해온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또한 진 의원이 ‘합리적 보수’로 평가받는 만큼 진 의원을 업은 더민주가 중도층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지역 대표성’을 무시한 ‘재활용 공천’은 반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말이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통화에서 “조 전 수석의 용산 출마는 지역 대표성을 무시하는 일”이라며 “이번에 친박계 인사들이 경선 여론조사에서 떨어지는 것을 보면 지역에서 오래 터를 닦았던 사람이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비박에 대한 거부감이 아니라는 것”이라고 했다.
김 교수도 “다른 지역에 출마한 후 낙마한 사람을 또 다른 지역에 내리 꽂는 행태는 민심을 무시하는 처사로 비춰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조 전 수석의 용산 재배치설에 대해 “최고위에서 그런 결정 못한다. 저한테 한 마디 얘기도 하지 않았다”며 일축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