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진 "상임전국위 파행, 철 없는 아이들도 안 하는 일"
'KBS 라디오'서 "유승민 사태 아직도 앙금 있는데 어떡하려고 이러나"
인명진 전 한나라당 윤리위원장은 최근 상임전국위원회가 친박계의 불참으로 열리지 않은 것에 대해 "철 없는 아이들도 하지 않는 일"이라고 19일 비판했다.
인 전 위원장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에 출연해 "친박계와 비박계가 의견이 다를 수 있지만 모여서 회의를 정당하게 토론하고 마음에 안 들면 바꾸기도 하고 이렇게 하는게 원칙 아니겠나"라며 이같이 말했다.
인 전 위원장은 "당이 지금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누가 비상대책위원이 되고 혁신위원장이 되는지가 아니라 남은 정권 2년을 어떻게 보내 정권을 재창출하느냐다"라며 "지금 사람들은 소탐대실한다. 철이 없어도 한참 없는 사람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친박은) 자신들에게 총선 패배 책임이 돌아오지 않을까하는 아주 얄팍한 계산이 깔려있는 것 같다"며 "잘못하고 책임이 있으면 고치면 되지 그게 뭐가 두려운 건가"라고 말했다.
인 전 위원장은 "친박의 핵심인지 누가 정진석 원내대표를 향해 물러나라고 한 것은 참 철딱서니 없는 말"이라며 "유승민 사태라는 것 때문에 얼마나 당이 많은 홍역을 겪었고 지금도 앙금이 있는데 어떻게 하려고 당이 아직도 저런 짓을 하고 있는 알 수 없다"고 답답함을 표했다.
그는 "이를 수습할 수 있는 딱 한 분은 박근혜 대통령이다. 박 대통령이 친박과 비박을 불러다가 혼내든지, 현기환 정무수석을 통해 경고를 하든지 무언가를 해야 한다"며 "현재 상황에서는 분당할 것 같지도 않다. 계속 저렇게 싸움을 하고 민생과 국회는 뒷전으로 하는게 (옳지 않다)"고 밝혔다.
인 전 위원장은 "(혁신위원장은)고 박정희·김영삼·김대중 대통령이 오셔도 안 될 것이다. 내부에서 해결해야 한다. 외부 사람들은 내부의 잠재적 갈등은 잘 모른다"라며 "(내가 거론되는데) 나 역시도 시민운동을 하는 사람이니까 정치를 잘 모르고 자격이 안 되는 사람"이라고 자평했다.
끝으로 "박 대통령으로서 협치는 싫든 좋든 안 하면 안 되는 불가피한 일"이라고 언급했으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논란에 대해선 "제창 한다고 해서 나라가 무너지는 것도 아닌데 정부가 너무 옹졸한 태도를 보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