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옥호’ 첫 관문은 의원총회…계파 뛰어넘을까
친박 추천 인사·정치 경험 전무 ‘갈등 불씨’
당 조기 수습 공감대에 반발 없을거란 전망도
새누리당 ‘김희옥호(號)’가 두 달여 간의 항해를 순조롭게 마칠 수 있을까. 총선 참패 이후 ‘혁신’이라는 화두가 친박·비박계 모두를 관통했지만, 비대위원회를 두고 계파 갈등이 점화된 바 있어 김희옥 혁신비대위원장에 주어진 시간은 짧을 수도, 어찌 보면 길수도 있다. 그 첫 관문은 오는 30일 열릴 의원총회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26일 김희옥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혁신비대위원장에 내정했다. 새누리당은 의원총회에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친 뒤 이르면 다음 주 전국위원회를 열어 김 위원장 선출안건을 심의·의결할 예정이다. 선출안이 통과되면 비대위원을 내정한 후 절차를 밟아 구성을 마무리한다.
‘김희옥호’는 7월 말 혹은 8월 초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준비하며, 총선 참패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계파 청산 등 당 체질 변경에 돌입한다. 또한 현행 집단지도체제를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변경하는 당헌 개정안 마련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김 위원장은 “새누리당을 국민의 눈높이에 부합하는 정당으로 혁신하는 데 작은 힘이라도 보태 달라는 요청을 받고 이 자리에 섰다”며 “목적이 정당하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쇄신하는 게 제 소임”이라고 밝혔다.
다만 ‘김희옥호’의 첫 관문, 의원총회를 바라보는 전망은 두 갈래로 나뉜다. 의원총회가 김 위원장 선출과 관련해 공론의 장 역할만 수행할 뿐이지만, 큰 반발이 일어날 경우 향후 전국위의 심의·의결 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먼저 김 위원장 발탁 배경에 친박계의 추천이 있었다는 점에서 비박계의 반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김 위원장은 정 원내대표와 김무성 전 대표. 최경환 의원의 ‘3자 회동’ 전 친박계 일각의 추천으로 이름이 거론된 것으로 전해진다. 3자 회동에서 이견이 없자 정 원내대표가 삼고초려 하다시피 설득해 발탁됐다. 이 때문에 김 위원장은 친박계로 분류된다.
김 위원장이 정치 경험이 없다는 점 또한 반발의 불씨는 남아있다. 김 위원장은 검사 출신으로 헌법재판소 재판관과 법무부 차관, 동국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당 상황도 잘 알지 못할뿐더러 계파 갈등으로 ‘풍비박산’ 위기에 처해있는 당을 잘 수습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의 목소리가 피어오르고 있다. 이 때문에 결국 ‘관리형 비대위원장’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친박계의 ‘허수아비’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반발로 의원총회에서 갈등이 격화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황영철 의원은 27일 YTN 라디오에서 “김 위원장이 허수아비로 전락될지, 아니면 지금까지 당에서 어떤 역할을 하시거나 정치권에 계시지 않았기 때문에 혁신의 적임자가 될 지에 대해 물음표를 붙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정우택 의원도 같은 날 TBS 라디오에서 “(김 위원장이) 정치를 한 분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 당의 사정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계신지(모르겠다)”며 “짧은 시간에 당의 여러 가지 쇄신안을 만드시려면 힘이 들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다만 계파 수장이 모두 공감대를 형성한 인사라는 점에서 의원총회에서 큰 반발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총선 이후 마비된 당 상황을 조기 수습해야 할 필요성을 의원 전체가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26일 YTN 라디오에서 “(김 위원장이) 공직에도 오래 계셨고, 특히 최고의 권위를 가지는 헌법재판소 재판관도 했고, 법조인으로서 변호사 생활을 하지 않고 학자로서의 길을 쭉 걸어오지 않았느냐”며 “공직자윤리위원회도 했고 청렴성이라든지 강직성, 그러 면에서는 (당 내에서) 높이 평가하는 분위기”라고 강조했다. 정 의원도 “국민 눈높이에서 우리 당을 쇄신해나간다고 하면 저는 저는 (김 위원장이) 잘하지 않을까 일단 기대한다”고 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이 의원총회에서 큰 반발 없이 순조롭게 닻을 올리더라도 비대위원을 새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특정 계파의 입김이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와 관련해 계파 갈등이 재점화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오랜 시간 새누리당이 마비된 것도 ‘비대위원 인선’ 때문이었다. 정 원내대표가 내정했던 비대위원 10명 중 7명이 비박계로 구성돼 친박계까 지난 17일 상임전국위를 무산시킨 바 있다. 비박계 하태경 의원은 27일 본보와 통화에서 “비대위원장 내정에 대해서는 아직 평가를 내릴 수 없다”면서도 “비대위원 임명을 보고 그 때 평가하겠다”고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