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성과연봉제 논의 결국 정치권으로 가나


입력 2016.10.07 17:05 수정 2016.10.07 17:18        이충재 기자

정치권 "여야 간 협상 통해 해결책 마련해보겠다"

성과연봉제 도입을 둘러싼 불씨가 정치권으로 옮겨 붙었다. 성과연봉제 도입을 진행해온 금융권에선 "일이 꼬였다"는 반응이다.(자료사진)ⓒ데일리안

성과연봉제 도입을 둘러싼 불씨가 정치권으로 옮겨 붙었다. 성과연봉제 도입을 추진해온 금융권에선 "꼬일 대로 꼬였다"는 반응이다. 민간금융기관의 성과연봉제 도입 사안까지 정치권 정쟁에 휘둘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정치권 '성과연봉제 이슈는 우리가 접수한다'

이미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이번 사안을 두고 더불어민주당과 손을 잡고 공동전선을 구축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정치권에서 최대한 여당을 설득하고 한편으로는 압박해서 해결책을 만들어보겠다"고 말했다.

반면 정부여당에선 성과연봉제 도입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성과연봉제는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당 의원들도 6일 국정감 등에서 "합리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자칫 성과연봉제를 둘러싼 갈등이 노조-야당과 사측-여당의 구도로 선명해질 가능성도 낮지 않다. 정치권 갈등이 커지면 성과연봉제 도입이 제속도를 내기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금융권 '난감' 수세 몰렸던 금융노조 '화색'

상대적으로 수세에 몰렸던 금융노조 입장에선 공이 정치권으로 넘어간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야당과 함께 반정부 공동투쟁에 나서는 등 성과연봉제 도입을 막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노조는 이날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에 오는 12일 산별중앙교섭을 개최할 것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지난달 29일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이 하영구 사용자협의회 회장에 산별중앙교섭 복원 요청에서 이어진 대응 수순이다.

현재 성과연봉제 도입은 금융노조(산별노조)와 금융사용자협의회의 단체교섭 사안이었지만, 시중은행이 사용자협의회를 탈퇴하면서 개별 노조와 협상을 벌어야 하는 상황이다. 사실상 칼자루는 사측이 쥐고 있다.

금융노조는 사용자협의회와의 교섭이 이뤄지지 않고 사측이 성과연봉제를 무리하게 추진한다면 내달 제2차 총파업을 단행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금융권 한 관계자는 "여당이건 야당이건 정쟁에만 매몰돼 성과연봉제 논의가 제대로 진행이나 될지 모르겠다"며 "무엇이 중요한지 가리고, 노사가 풀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