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 속 변화’…포스코, ‘권오준 2기 체제’ 출범
오인환 부사장, 사장 승진…철강부문장(COO)제 신설
후계자 육성 및 경영자 훈련 초점…그룹 전체 임원 수, 전년비 12% ↓
오인환 부사장, 사장 승진…철강부문장(COO)제 신설
후계자 육성 및 경영자 훈련 초점…그룹 전체 임원 수, 전년비 12% ↓
‘권오준 2기 체제’를 출범한 포스코가 올해 정기 임원인사에서 ‘안정 속 변화’를 꾀했다.
포스코는 2일 조직개편 및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지난달 25일 포스코 이사회가 권오준 회장의 연임을 추천한 이후 조기에 조직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조치다.
조직개편의 가장 큰 특징은 철강사업 중심의 포스코 운영을 책임지는 COO(Chief Operating Officer, 철강부문장) 체제를 도입한다는 점이다. 기존 철강부문의 운영은 COO가 책임 경영토록 하고, 권오준 회장은 미래 성장동력 확보, 비철강 부문 개혁 등 그룹경영에 집중할 계획이다. COO 체제 도입은 경영자 훈련 프로세스 활성화 방안의 일환이기도 하다.
COO로는 철강 마케팅분야 전문가로서 포스코 철강사업본부장/자동차강판판매실장 등을 역임한 오인환 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시켜 철강사업본부장을 겸무토록 했다. 기술투자본부장에는 해외 및 신사업 등에 다양한 경험을 보유한 유성 전무를 부사장으로 승진시켜 보임했다. 기술투자본부장을 맡았던 장인화 부사장은 김진일 사장 퇴임으로 공석이 된 철강생산본부장으로 자리를 옮긴다.
그룹사는 주요 회사(대우/건설/에너지/켐텍/ICT) 사장단 전원을 유임시켰다. 이는 진행 중인 구조조정의 책임 있는 마무리와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토록 하기 위함이다.
포스코강판 대표에는 권오준 회장 1기 체제의 경영전략 수립 및 실행을 주도한 전중선 포스코 경영전략실장(전무)을 내정했다.
또한 포스코그룹의 인재육성을 총괄하는 포스코인재창조원 대표에는 황은연 포스코 경영지원본부장(사장)을 내정했다. 포스코터미날 대표에는 이영기 포스코 일본대표법인장을 내정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번 인사는 올해가 권 회장의 2기 체제가 출범하는 첫 해로 세대교체를 통해 향후 3년간의 과제로 제시된 후계자 육성 및 경영자 훈련에 초점을 맞췄다”고 평가했다.
한편 지속적인 구조조정 및 경영쇄신 기조에 따라 포스코 그룹의 전체 임원 수는 전년대비 12% 줄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