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곡·상암 인근 김포·고양·부천 '대체주거지'로 주목
서울 마곡·상암 인근 김포·고양·부천 '대체주거지'로 주목
서울의 마곡·상암 등이 신흥 업무지구로 떠오르면서 김포, 고양, 부천 등 인근 수도권 지역이 대체 주거지로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11개사가 입주한 마곡지구는 올해 LG, 코오롱, 롯데 등 43개사가 공사를 완료해 총 54개사 입주 예정이다. 면적은 상암DMC의 6배, 종사자 수는 약 16만여명에 달한다. 공항철도, 5·9호선 등 지하철 3개 노선이 지나는 트리플 역세권이다.
상암지구는 MBC·YTN·SBS미디어센터·CJ E&M 등 방송매체를 비롯해 800개가 넘는 기업이 입주한 상태이며, 종사자는 4만여명에 이른다.
이처럼 마곡과 상암이 20만여명의 종사자를 배후에 둔 서울 서북권 대표 업무지구로 자리 잡으면서 지역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지구 내 아파트 가격도 오르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마곡지구가 속한 서울 강서구 마곡동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는 2013년 1168만원 수준이었지만 3년이 흐른 지난해 12월 기준 1917만원으로 64%나 상승했다.
상암지구 역시 2013년 대비 3년새 10% 상승하며 마곡지구보다 높은 3.3㎡당 2086만원의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마곡, 상암 지역의 가격 상승으로 진입 장벽이 높아짐에 따라 해당 지구와 접근성이 좋은 김포, 고양, 부천 등으로 시선을 돌리는 수요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김포시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3.3㎡당 875만원의 시세를 형성 중이며, 고양시는 3.3㎡당 1036만원, 부천시는 3.3㎡당 1056만원 수준으로, 이는 마곡, 상암 아파트 가격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아파트 거래량 역시 대폭 늘어났는데 지난해 기준으로 김포시 1만3323건, 고양시 7603건, 부천시 1만5255건으로 집계되며 1년 새 각각 16%, 30%, 2%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팀장은 “서울은 올해도 정비사업 추진으로 주택멸실이 이어져 매매, 전셋값은 하락보다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마곡, 상암 등 신흥업무지구의 높은 주택가격으로 진입장벽도 높아진 만큼 이들 지역으로 접근성이 좋은 김포한강신도시 등을 비롯한 수도권 서부권역으로 이동하는 수요는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