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선효과 및 부동산 경기 호조 영향
지난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비은행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이 큰 폭 늘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291조2554억원으로 지난해 42조6231억원(17.1%) 증가했따. 연간 기준 증가액이 사상 최대 수준이다.
지역별(금융기관 기준)로 보면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이 118조6600억원으로 1년새 20조4064억원(20.8%) 급증했다.
서울의 잔액이 42조9522억원으로 22.8%(7조9673억원) 늘면서 수도권 3개 시·도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인천(13조661억원)은 20.4%(2조2127억원) 증가했고, 경기(62조6417억원)는 19.5%(10조2264억원)로 늘었다.
이 밖에 광주, 경남, 대구, 경북, 전남 등 비수도권의 비은행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은 172조5954억원으로 1년 새 14.8%(22조2167억원) 증가했다.
수도권의 증가율이 전국 평균보다 3.7% 포인트 높았고 비수도권과 비교하면 6.0%포인트 차이가 났다.
수도권 가계대출에서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증가율은 예금은행 증가율(9.0%)의 두 배를 넘었다.
지난해 비은행권 가계대출이 급증한 이유는 은행권의 대출심사 강화에 따른 이른바 '풍선효과'의 영향인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에서 소득심사를 강화하고 원금과 이자를 나눠 갚도록 하는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은행의 문턱을 넘지 못한 가계가 저신용·저소득층을 중심으로 2금융권으로 많이 몰렸다.
여기에다 수도권의 뜨거웠던 부동산 열기도 2금융권 대출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비은행권 가계대출은 지역별로 부동산 경기의 차별화, 금융기관의 대출규제 수준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며 "지역별 대출 현황을 반영한 가계부채 처방을 내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