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KT, 평창서 '자율주행 버스' '드론 택배 서비스' 시연


입력 2017.03.14 12:00 수정 2017.03.14 09:19        이호연 기자

이동하며 체험하는‘VR 웍스루’ 선 봬

14일 평창 알펜싱 리조트에서 간담회

KT가 2018년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도 평창에서 자율주행 5세대(5G) 버스와 드론 택배 서비스를 처음으로 시연했다. 이와 함께 올림픽 성화 봉송을 가상현실로 체험할 수 있는 차세대 가상현실(VR) 서비스 ‘VR 웍스루’를 선보였다.

KT는 14일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4대 실감 서비스를 포함해 2018년 평창에서 선보일 예정인 5G 기반의 융합 서비스를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4대 실감 서비스는 싱크뷰, 인터랙티브 타임슬라이스, 360도 VR 라이브, 옴니포인트뷰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KT가 새롭게 개발한 ‘VR 웍스루’가 첫 선을 보였다. VR 웍스루는 체험자가 걸어 다니며 가상의 객체를 만지고 느낄 수 있는 VR 서비스다.

이용자가 VR 고글(VR HMD)과 위치, 동작을 실시간 감지하는 ‘트래킹 센서’를 착용하면 성화봉송 가상현실로 들어가 직접 성화봉을 잡고 주자가 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점화 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성화봉송을 주제로한 특별 이벤트도 실시한다.

KT는 이날 간담회에서 5G 테스트 네트워크에 기반한 ‘자율주행 5G 버스’를 시연했다. 5G 버스는 차량관제센터와 5G로 연결돼 다른 차량 및 장애물의 위치정보를 최소한의 지연으로 공유 받아 충돌을 방지한다.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는 속도, 위험요소, 차간 간격 등이 표시되는 만큼 운전자뿐 아니라 탑승자도 각종 위험요소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자율주행 기능뿐 아니라 안경 없이 그대로 3D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초다시점 인터랙티브 시스템’이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초고용량의 미디어를 5G를 통해 실시간 전송하고 3D로 변환해 다양한 각도와 입체감 있는 경기 장면을 확인할 수 있다.

KT는 자율주행 5G 버스와 자율주행 드론을 결합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시하기도 했다. 5G 버스가 주행하는 도로에 설치된 택배 보관함에 자율주행 드론이 택배를 배송하면 자율주행 기능으로 양손이 자유로운 운전자가 물품을 수령하는 장면을 연출했다.

지난해 11월 개관한 ‘평창 5G 센터’도 처음으로 외부에 공개됐다. 평창 5G센터는 5G 시범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장비의 기능검증을 담당하는 현장 R&D센터 역할을 하고 있다. KT는 미디어를 대상으로 ‘평창 5G 규격’에 참여한 업체들의 5G 장비 사이의 연동을 시연했다.

‘5G 체험존(가칭)’도 구축해 평창동계올림픽 기간에 운영한다. 평창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도는 물론 서울 주요 지역에서도 5G 체험존을 선보인다. 이동형 5G 체험시설도 운영한다.

KT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진행되는 ‘헬로 평창’ 테스트 이벤트에서 5G 테스트 네트워크 운영과 함께 2018년 평창에서 선보일 5G 기반의 ‘4대 실감 서비스’의 실전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실시했다고도 밝혔다.

헬로 평창 테스트 이벤트는 평창동계올림픽의 리허설로 평가 받는다. 2018년 5G 시범 서비스를 준비 중인 KT에게는 실제 경기환경에서 5G를 테스트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다. KT는 테스트 이벤트가 열리는 경기장에 평창 5G 규격 기반의 5G 테스트 네트워크를 구축해 서비스에 적용하는데 성공했다는 설명이다.

KT는 4대 실감 서비스를 실제 대회에 적용하기 위해 국제경기연맹, 관련 협회뿐 아니라 올림픽 중계방송을 총괄하는 OBS와 지속적으로 협의를 진행한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 사장은 “KT가 세계최초 5G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평창동계올림픽을 보다 실감나고 즐거운 축제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며, “2018년 평창에서 전 세계인들에게 5G 기반의 놀라운 서비스를 선보여 ICT 강국, 한국의 위상을 다시금 높이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