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노트7 반사 이익↑” 지난해 4Q 미국 시장, 애플 1위
‘아이폰7’효과, 안드로이드 가입자 이탈↑...38.7% 점유율
삼성전자 19% 2위
지난해 4분기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이 ‘아이폰7’ 판매 호조와 경쟁작 ‘갤럭시노트7’ 단종 반사효과로 점유율 1위를 사수했다. 삼성전자는 2위에 그쳤다.
20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2016년 미국 스마트폰 시장은 연간성장률 1.1%의 비교적 양호한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은 아이폰7의 성공적인 런칭과 연말 성수기 효과에 힘입어 4분기 중 시장점유율을 38.7%까지 끌어올리며 1위 자리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안드로이드에서 아이폰으로 갈아탄 사용자 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가 시장에서 철수한 효과도 일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시장점유율 19%로 2위를 기록한 삼성은 4분기 시장점유율은 5% 하락했으나, 갤럭시노트7의 시장 철수라는 악재를 감안하면 피해를 최소한으로 방어하는데 성공했다는 분석이 유력하다.
삼성은 대부분의 홍보와 프로모션을 갤럭시S7과 갤럭시S7 엣지로 전환했으며, 보급형 갤럭시J시리즈의 선전 역시 피해 최소화에 큰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삼성의 노력과 전체 갤럭시 포트폴리오의 후광 효과에 힘입어 여전히 제품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 현재 유일한 기가비트 LTE 디바이스로 자리잡고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 브랜드 역시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TE는 미국 이동통신사 메트로PCS 와 크리켓의 선불폰 유통망 확장과, 저렴한 패블릿 스마트폰의 판매호조에 힘입어 4분기에 처음으로 두 자리 수 시장점유율인 10.7%를 기록했다.
시장점유율 7%로 5위를 차지한 알카텔은 신규 이동통신사 유통망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면서 지난해 연간 스마트폰 출하량 84% 증가를 기록했다.
구글은 첫 자체 제작 스마트폰인 픽셀과 픽셀XL을 성공적으로 시장에 출시하며, 2016년을 기분 좋게 마감했다. 구글 픽셀은 미국의 이동통신사 빅4 중 하나로 꼽히는 버라이즌 전용 스마트폰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인지도를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물량 부족만 아니었으면 훨씬 더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의 4대 주요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 AT&T, T모바일, 스프린트의 스마트폰 점유율을 살펴보면, 애플과 삼성이 모두 동일하게 1, 2위를 기록했다. 버라이즌을 제외한 나머지 3사에서는 ZTE 그랜드 X3와 ZTE 퀘스트의 선전에 힘입어 ZTE가 LG를 제치고 3위에 올랐다.
한편 미국내 200달러 이하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판매가 증가했으며 앞으로도 장기적인 트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보급형 단말 삼성 J시리즈, LG전자 K시리즈와 ZTE의 판매 호조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은 주로 베스트바이, 월마트, 아마존 등 대표적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4월부터 LG의 G6를 시작으로 고가 프리미엄폰 판매가 기지개를 펼 것으로 보인다. 강경수 애널리스트는 “갤럭시S8출시까지 약 3주의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내다봤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