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문재인 '안보관·대북관' 속살 드러내…'거짓말' 논란으로 비화


입력 2017.04.21 12:28 수정 2017.04.21 12:52        문현구 기자

북한 주적 여부·국가보안법 폐지 주문·송민순 회고록 등

문재인 측 색깔논쟁 규정…'지지층' 결집 강화 계기될 수도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20일 오후 충북 청주시 상당구 성안길에서 열린 유세를 마친 뒤 차량을 타고 떠나며 시민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지지율 선두를 달리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안보관' '대북관'이 선거판의 새로운 쟁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문 후보 이념의 '속살'이 드러나면서 지지율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 19일 밤 열린 TV토론회를 통해 이른바 '뇌관'이 터졌는데 북한에 대한 '주적' 개념을 놓고 연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토론회에서 '북한이 우리의 주적이냐'는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의 질문에 문 후보가 "그런 규정은 대통령으로서 할 일이 아니다"고 답한 것이 발단이 됐다.

'북한 주적 여부·국가보안법 폐지 주문·송민순 회고록' 등 연이어 터져나와

보수진영의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물론 국민의당까지 가세해 "북한을 주적이라고 말하지 못하는 사람이 대통령이 되면 되겠느냐"고 날을 세우고 있다.

여기에 문 후보가 참여정부 재직 시설에 '국가보안법 폐지'를 당시 송영근 기무사령관에게 앞장서 달라고 주문했다는 주장도 끄집어내졌다. 공세를 가한 것은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인데 역시 19일 대선후보 토론회에서 문 후보에게 그러한 사실이 있는지를 따져 물었다. 이에 문 후보는 "기무사령관에게 (요구)한 적 없고, 열린우리당(민주당 전신)에서 국보법 폐지를 위해 노력한 바는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당사자인 송 전 기무사령관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문 후보가 국보법 폐지를 위해 앞장서 달라고 말한 것은 사실"이라고 밝혀 문 후보가 거짓말을 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을 빚고 있다.

인터뷰에 따르면, 송 전 사령관은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과 식사하는 자리에 문 후보도 동석했으며, 식사를 마친 후에 문 후보가 '총대를 메달라'는 요지의 발언을 했다는 것이다. 이어 송 전 사령관은 "문 후보가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말도 했다고 전했다.

21일에도 문 후보를 당혹케 할 만한 사안이 또 터져 나왔다. 노무현 정부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에 앞서 북한에 의사를 묻고 기권했다는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회고록과 관련해 송 전 장관이 증거가 있다고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송 전 장관은 지난해 10월 발간한 회고록에서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을 앞두고 김만복 당시 국가정보원장이 ‘북한의 입장을 확인하자’고 제안했고, 문재인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 수용했으며, 북한의 반대 의사를 확인한 노무현정부는 2007년 11월 20일 기권을 최종 결정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후 문 후보를 공격하는 주요 쟁점이 된 가운데 문 후보 측과 송 전 장관간 '진실공방'은 진행형으로 흘렀다.

'빙하는 움직인다' 회고록을 펴낸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이 지난해 10월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북한대학원대학교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회고록에는 노무현 정부 당시 비서실장이던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지난 2007년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을 앞두고 북한의 의견을 물은 뒤 기권 입장을 정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한 것처럼 묘사돼 논란을 빚고 있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문 후보는 이런 내용을 계속 부인했지만, 송 전 장관은 21일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북한의 회신을 정리한 문건이 있다”고 반박하고 나섰다. 송 전 장관은 이 문건과 관련해 "노 전 대통령이 아세안+3 회의를 위해 출국한 싱가포르에서 2007년 11월 20일 오후 6시50분 나를 방으로 불러 쪽지를 보여줬다. 김 전 원장이 북한에서 받은 쪽지를 서울에서 싱가포르의 백종천 전 안보실장에게 보내 노 전 대통령에게 전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송 전 장관은 인터뷰에서 "문 후보가 최근 '송 전 장관의 주장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나는 거짓말한 것이 됐다"며 문건 공개 이유도 밝혔다.

앞서 19일 토론회에서도 이 사안이 쟁점이 됐는데 홍준포 후보는 "송민순 (전) 장관이 거짓말했는지 문 후보가 거짓말하는지 (청와대) 회의록을 보면 나올 것이다. 거짓말했다는 것이 밝혀지면 어떻게 할 것이냐"며 공세를 펼쳤다. 이에 문 후보는 "지금 정부의 손에 (회의록이) 있는 것 아닌가. 확인해 보라"며 선을 그은 바 있다.

문 후보 측 '색깔논쟁' 규정…'문재인 지지층' 결집 강화 계기될 수도

이처럼 대선을 불과 십여 일 앞두고 문 후보의 '대북관' '안보관'이 논란에 쌓이면서 대선 판세에도 영향을 끼칠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문 후보 측은 '색깔 논쟁'으로 규정짓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반면 경쟁후보들은 고삐를 당겨 반전의 기회로 삼을 태세다.

다만, 이러한 '색깔논쟁'은 자칫 문 후보 지지층을 더욱 결집시킬 요소가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공동의 적'으로 몰리는 상황에 대해 위기감을 느껴 문 후보를 지켜야 한다는 '보호론'과 함께 콘크리트 지지층을 더욱 단단하게 묶을 수 있다는 예상에서 나오는 해석이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한반도 위기 상황에서 대선후보로서 갖고 있는 안보관이나 대북관이 어떠한지는 중요한 문제이긴 하지만 현재 지지층을 놓고 겨루는 선거 판세에 바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며 "이러한 문제를 문 후보의 경쟁후보들 측에서 계속 문제 제기할 경우 오히려 문 후보 지지층의 단결력을 높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문현구 기자 (moonh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현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