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도발에 말이 아닌 행동…한미 '미사일 무력시위'
문재인 대통령 "성명으로 대응할 상황 아냐…대응태세 보여줄 필요"
북한에 '엄중경고' 메시지…합참 "유사시 적 지도부 정밀 타격 가능"
5일 오전 7시 한미 미사일 부대는 동해안에서 한국군의 현무-II와 미 8군의 ATACMS(에이태킴스) 지대지미사일을 발사했다. 동시에 발사된 미사일은 초탄을 명중시켰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에 대한 경고메시지다.
이날 훈련에 동원된 현무-2A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사거리 300㎞ 탄도미사일이다. 목표물 명중 오차는 30m 이내다. 주한미군이 운용하는 전술지대지 미사일인 에이태킴스는 탄두에 수많은 자탄이 들어 있어 1발로 축구장 4개 면적을 초토화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사격훈련은 그동안 북한의 무력도발에 '항의성명'이나 '비판논평' 등을 통해 구두경고를 보내던 소극적 대응을 넘어 한미 양국이 무력시위를 통해 북한을 압박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 북에 보내는 '최후통첩'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늘 오전 한미 미사일 부대가 동시 사격해 초탄 명중시킴으로써 유사시 적 지도부를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과시했다"며 "이는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한미 동맹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 무력시위 지시…트럼프 '그린라이트' 동의 얻어
이날 미사일 사격훈련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로 이행됐다. 청와대에 따르면 전날 문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정의용 안보실장은 밤 9시경 맥마스터 백악관 안보보좌관과 통화해 미사일 공동발사 제안을 설명했고, 이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동의를 받았다.
이에 문 대통령은 "북한의 엄중한 도발에 우리가 성명으로만 대응할 상황이 아니다"며 "우리의 확고한 미사일 연합대응태세를 북한에게 확실히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도발에 말이 아닌 행동으로 응징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이번 한미 연합 무력시위는 우리 정부가 먼저 제안한 것으로 북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우리나라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겠다는 뜻도 담겨 있다. 지난 1일 미국 방문에서 문 대통령은 "남북관계에서 주변국에 기대지 않고 우리가 운전석에 앉아 주도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한 문재인 정부와 트럼프 정부가 뜻을 같이했다는 데에도 의미가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에 대한 문 대통령의 단호한 의지를 높이 평가하고 공감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