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김이수 지키기'에 野3당 "대통령 직무유기"
야3당 "헌법정신 위배…'김이수 체제'는 대통령 직무유기"
문재인 대통령이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체제를 다시 옹호한 것을 놓고 야권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김 권한대행을 둘러싼 여야 갈등이 깊어지면서 국정감사가 파행을 예고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4일 페이스북을 통해 "법으로 선출된 권한대행을 두고 위헌이니 위법이니 하며 부정하고 업무보고도 받을 수 없다고 하는 것은 국회 스스로 만든 국법 질서에 맞지 않는 일"이라며 "대통령과 국회가 헌재소장 권한대행을 '인정한다, 안 한다' 할 권한이 없다. 국회의원들께서 삼권분립을 존중해주실 것을 정중하게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야3당은 16일 이에 대해 일제히 '대통령 직무유기'라며 반발했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의 이재만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정부가 헌법재판소 수장직을 1년이나 대행 체제로 유지하겠다는 건 헌법을 수호해야 하는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방기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인사청문회라는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부적격 판정을 받은 김 권한대행에게 (문 대통령이) 수모를 겪어서 죄송하다고 한 건 입법부의 권한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라며 "문 정부가 삼권분립이라는 헌법정신을 부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바른정당도 문 대통령 결정이 헌법정신에 어긋난다며 새 헌재소장을 지명할 것을 촉구했다. 주호원 바른졍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감대책회의에서 "김 헌재소장 대행 체제 지속으로 여러 가지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며 "(헌재소장 공백의) 장기 방치는 헌법상 대통령 직무유기와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국민의당은 새 헌재소장을 지명할 것을 요구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이날 "국회가 인준 부결한 사람이 헌재소장 권한대행을 유지하는 것은 위헌 소지가 있다고 했더니, 문 대통령이 오히려 국회를 비난해 어안이 벙벙하다"고 밝혔다.
안 대표는 그러면서 "(정부는) 어울리지도 않는 '협치' 같은 단어를 입에도 올리지 말라"며 "헌법수호기관인 헌법재판소의 권위와 국법질서를 위해 새 헌재소장을 빨리 지명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백혜련 대변인은 이날 CP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문 대통령의 발언은) 김 권한대행에 대한 예의 차원"이라며 "(국회에서 임명동의안이 부결된 김 권한대행이 헌재를 대표할 자격이 없다는) 야당의 주장은 명분 없다"라며 문 대통령을 옹호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