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에 맞춰진 홍준표 시계…사당화·계파 최대 난제
자유한국당 당협위협장 62명 대폭 물갈이
친박 인적 청산·표적 감사 논란 거세질 듯
자유한국당이 당협위원장 62명의 자격을 박탈하기로 한 가운데 또다시 홍준표 대표의 사당화 논란과 계파갈등이 고개를 들고 있다.
홍준표 대표는 17일 당무감사 결과 발표에 앞서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옥석을 가리지 않으면 지방선거를 치를 수 없기에 부득이하게 당협위원장 정비를 하게 됐다”며 “일체의 정무판단 없이 계량화된 수치로 엄격히 블라인드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홍 대표도 그럴 것이,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승리하려면 쇄신이 절대적이다. 한국당 한 관계자는 “세대교체 뿐”이라고 진단한다. 선거용 쇄신은 민심을 얻지 못한다는 분석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에 힘입어 고공행진 중이다.
자유한국당 당협위협장 62명 대폭 물갈이
친박 인적 청산·표적 감사 논란 거세질 듯
이에 홍 대표는 지난 15일 2박 3일간의 방일 일정을 마치자마자 여의도 당사로 복귀, 최고위원들과 함께 당협위원장 교체비율을 좌우할 당무 감사 커트라인을 확정했다. 이같은 작업은 모두 내년 6월 지방선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서청원, 유기준 의원 등 ‘친박’ 현역 중진 의원이 당협위원장 교체대상에 포함되면서 후폭풍이 예상된다.
홍 대표의 사당화(私黨化) 논란이 그것이다. 일각에선 결과적으로 친박 인적청산으로 연결됐다는 분석도 제기한다.
한국당은 이와 관련해 18일부터 20일까지 탈락자들로부터 재심 신청을 받기로 했다.
한 주요 당직자는 “규모가 엄청나게 큰 것이지만 그 정도의 뼈아픈 혁신이 없다면 당을 혁신할 수 없다는 홍 대표의 뜻이 담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국민이 이번 당무감사를 한국당의 혁신으로 봐줄 것이냐, 아니면 친박·친홍(친홍준표) 간 갈등으로 볼 것이냐가 관건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탈당 권고 징계에 이어 이번 당무감사 교체대상에 친박 중진들이 포함된 것이 ‘친박당’의 이미지를 벗을 수 있다.
그런가 하면 당사자들이 표적감사를 당했다며 홍 대표의 사당화 논란을 제기할 경우 당내 적잖은 파문이 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홍 대표는 “조속히 조직혁신을 하고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지방선거 준비에 나서겠다”며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날 한국당에 대해 국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성원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