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이전 요구안 마련키로
3월 이전 요구안 마련키로
현대자동차 노조가 올해 임금협상을 조기 종결한다는 목표 하에 예년보다 이른 4월 초 교섭을 개시할 방침이다. 현대차 노사는 그동안 4월 중순 이후 상견례를 시작으로 임단협과 임협 교섭을 진행해 왔다.
현대차 노조는 20일 자체 소식지를 통해 “2017년 임단협에서는 사측의 임금피크제, 신 임금 체계, 주간연속 2교대 등 공세적인 요구에 끌려다니는 협상이 주를 이뤘지만 7대 집행부의 본격적인 사업이 시작되는 2018년 임협에서는 수세를 넘어 공세로, 조기 임투에 돌입해 여름휴가 전 타결로 목표를 정했다”고 밝혔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해 말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으나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부결된 바 있다. 결국 재협상에 돌입해 2차 잠정합의안을 마련한 끝에 해를 넘겨 올해 1월 15일에야 최종 타결됐다.
올해 임협 조기 종결을 목표로 잡은 것은 지난해 임단협이 해를 넘겨서까지 진행되는 과정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노조는 임혐 요구안도 서둘러 마련할 방침이다. 3월 이전까지 주간연속 2교대 8+8시간 조업 완성을 위한 검증을 마치고 요구안에 반영할 계획이며, 임금 관련 요구사항은 수당체계를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둘 방침이다.
또한 전기차, 자율주행차, 공유경제, 4차 산업혁명 등 자동차 업종 환경 변화에 따라 유휴인력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중장기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노조는 “단체협약, 각종 고용안정 합의서, 4차 산업혁명 및 자동차산업 발전 관련 별도합의 등을 종합해 조합원 고용안정 대응방안을 순차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노사 대립 때마다 국민들로부터 ‘귀족노조’라고 비난받는 등의 ‘사회적 고립’ 문제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노조는 “사회적 고립을 넘어 국민의 곁에 다가가기 위해선 반드시 비정규직 문제 해결 방향을 올바로 세우고 노동시간 단축 등을 통해 정의로운 노동조합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면서 “기득권 충돌과 내부 혼란이 발생하더라도 조합원을 설득하고 동의절차를 충실히 거쳐 미래 30년을 유지할 수 있는 노동조합을 바로 세우는 일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