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평화당·정의당 제4교섭단체 출범 초읽기…국회 지형 변화 예고


입력 2018.03.25 11:33 수정 2018.03.25 13:26        스팟뉴스팀
장병완 민주평화당 원내대표와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20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평화당-정의당 공동교섭단체 구성과 관련한 원내대표 회동에서 밝은표정으로 악수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이 이번 주 공동교섭단체를 출범시킨다.

평화당과 정의당의 제4 교섭단체가 개헌과 추가경정예산안(추경) 등 임박한 4월 임시국회 현안 처리 과정에서 캐스팅보터로 부상할 수 있다.

평화당 이용주 원내수석부대표와 정의당 윤소하 원내수석부대표는 교섭단체 구성을 위한 막판 실무협상에 임하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이번 주 안에 평화당(14석)과 정의당(6석)이 구성하는 20석 규모의 새 교섭단체가 등장하면서 국회는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과 함께 4개 교섭단체 체제로 재편된다.

범진보로 분류되는 평화당과 정의당이 새로 교섭단체를 구성하면서 형식상 원내 협의 테이블은 진보와 보수 2대 2로 균형을 이루게 된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범보수 진영으로 분류된다.

때문에 민주당이 잠재적 우군을 얻게 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그러나 간극은 넓다. 호남이 지역 기반인 평화당은 군산 현대조선소 가동 중단과 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 사태, 광주에 공장을 둔 금호타이어 경영위기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지역경제를 지원할 예산을 반영하지 않으면 추경 통과에 협조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정의당도 핵심 지지층 가운데 노동계가 공동교섭단체 추진에 부정적 의견을 밝힌 점 등을 고려해 노동 현안 등의 이슈를 부각하려고 할 가능성이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개헌안 발의를 예고한 가운데 평화당과 정의당은 한국당에 총리 국회추천제를 절충안으로 제시하며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등 선거제도 개편을 수용하라고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당의 개헌 저지선을 확보한 만큼, 4교섭단체의 역할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