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건너간 결선투표’ 박영선‧우상호,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
당 지도부 “경선잡음 커질라” 부정적 입장
박·우 단일화 가능성 솔솔…친문 표심 관건
당 지도부 “경선잡음 커질라” 부정적 입장
박·우 단일화 가능성 솔솔…친문 표심 관건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경선에 나선 박영선‧우상호 의원이 고민에 빠졌다. 당 지도부가 경선에서 결선투표를 실시하지 않는 쪽으로 의견을 모으면서다. 현역 프리미엄을 업은 박원순 서울시장을 뛰어넘을 현실적 방안이 마땅치 않다는 분석이다.
정부 개헌안에도 명시…결선투표 불씨 살리기 사활
현재 두 의원은 결선투표제 도입에 사활을 걸고 있다. 결선투표가 없으면 경선은 무의미하다며 경선룰 결정의 키를 쥔 당지도부를 거듭 압박하고 있다.
우 의원은 27일 기자간담회에서 “대통령이 발의한 개헌안에 대선 결선투표를 명시하고 있는데, 여당이 결선투표를 안 하는 게 맞느냐”라고 했고, 박 의원도 이날 간담회에서 “결선투표 없는 조용한 선거가 지방선거 승리를 가져올 수 있겠나”라고 꼬집었다.
당지도부는 경선잡음을 이유로 결선투표제 도입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결선투표제를 수용할 경우 후보 간 네거티브전이 가열되는 등 선거판이 요동칠 수 있다.
여당으로 기울어진 선거판을 흔들어댈 이유가 없는 민주당이다. 고공지지율에 부자몸조심 중인 여당의 인식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는 지적이다.
박영선·우상호, 단일화 가능성은
결선투표제 도입이 멀어지면서 박‧우 의원 간 후보 단일화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박 시장과 1대 1구도로 맞붙으면 해볼 만한 싸움 아니냐는 것이다.
양자 구도에선 박 시장도 승리를 낙관하기 어렵다. 당내 기반이 부족한 게 최대 단점으로 꼽히는 박 시장이다.
당원투표와 여론조사가 5대 5비율로 치러지는 경선에서 당심(黨心)이 한쪽으로 쏠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내 최대 계파인 ‘친문표심’이 박 시장에게 우호적이지 않다는 점도 후보단일화론을 키우는 요소다.
두 의원 모두 후보단일화 가능성에 손사래를 치고 있다. 그러나 경선이 가까워질수록 자연스럽게 단일화가 논의될 것이란 얘기가 많아지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