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앤써치의 ‘국민들은 지금’ 정기 여론조사 분석
올초 가상화폐 규제·남북단일팀 논란 60%대 붕괴
취임 1년 앞두고 국정 지지율 74.1% 최고치 경신
알앤써치의 ‘국민들은 지금’ 정기 여론조사 분석
올초 가상화폐 규제·남북단일팀 논란 60%대 붕괴
취임 1년 앞두고 국정 지지율 74.1% 최고치 경신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1년을 맞는 9일, 그동안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어떻게 변했을까. 데일리안은 지난해 11월부터 여론조사기관 알앤써치에 의뢰해 지지율을 매주 살폈다.
조사결과,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50~70%대를 넘나들었다. 편차가 크다고 할 수 있지만, 50%를 넘는 지지율을 장기간 유지하고 있다.
5월 첫째주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74.1%로 집계됐다. 같은 조사에서 최고였다. 지난달 27일 한반도 비핵화를 명시한 판문점 선언 효과로 풀이된다.
그렇다면 대통령 지지율에 변화를 일으킨 사건은 무엇일까. 11월 첫째주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62.9%였다. 안정적 지지율을 얻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문재인 정부가 국민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준데다 적폐청산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지속적으로 보여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월 첫째주 첫 70% 돌파…남북관계 개선 기대효과
11월 둘째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과 함께 66.9%로 상승한 후 지지율은 12월까지 줄곧 60%대를 유지했다.
그러다가 2018년 1월 첫째주 70.8%을 기록했다. 조사 이래 최고였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년사를 통해 남북대화를 제안한 것과 관련한 상승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임기 초반부터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과 핵실험, 중국의 사드보복 등 외교·안보분야에서 진통을 겪었다. 이런 상황에서 김 위원장의 메시지가 남북관계 개선 기대효과를 불러일으킨 것이다.
1월 넷째주 60%대 첫 붕괴…이유는?
그러나 1월 넷째주 지지율은 56.7%를 기록한다. 60%대 첫 붕괴였다. 특히 문 대통령의 지지층인 2030세대의 지지율이 폭락한 것이 눈에 띈다.
1월에는 가상화폐 제재 및 평창올림픽 남북단일팀 구성 논란이 있었다.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이 대통령 지지율 급락의 원인이라는 게 정가의 중론이었다.
이와 관련해 김미현 알앤써치 소장은 “논란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시시비비를 떠나, 정부의 ‘접근 방식’이 문제”라고 했다. 지난 정부의 국정농단 사태로 ‘공정’과 ‘소통’이 최고 가치로 떠오른 시점에서, 현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은 사실상 지난 정부와 다를 바 없다는 논리다.
그러나 다음주 지지율은 61.9%로 다시 60%대를 회복했다. 위기감을 느낀 지지층이 결집한데다 정부의 발빠른 대응으로 2030이 변화를 보였다.
2월 둘째주에는 평창올림픽에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방한했다. 국정지지율은 60.8%로 큰 변화는 없었다. 김 부부장 방한에 대한 역풍으로 60대 이상과 TK(대구·경북)에서 지지율 방어전을 펼쳤다는 평가도 있다.
미투·드루킹에도 3~4월 지지율 60~70%
진보 진영의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쇼크’가 있었던 3월 둘째주 지지율은 67.9%로 상승세를 보였다. 남북·북미 정상회담 성사에 이어 ‘대통령 개헌안’ 발의를 예고하면서 문 정부가 정국 주도권을 거머쥔 결과로 보인다.
3월 넷째주에는 70%를 회복한다. 베트남·UAE 순방 효과로 70.3%를 기록하며 외치가 내치를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4월 국정 지지율은 소폭 하락하다가 넷째주에는 65.4%에 머물렀다. 2018 남북정상회담이라는 ‘빅 이벤트’를 앞두고 대통령 지지율이 하락한 데는 ‘드루킹 사건’ 등 국내 정치 문제에 대한 국민적 피로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성공적 남북정상회담…최고 지지율 경신
2018 남북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끝난 후 처음으로 조사한 5월 첫째주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74.1%다.
‘매우 잘하고 있다’는 평가가 60대 이상에서 최초로 과반(50.1%)이었다. 대선득표율(41.1%)보다 높은 지지율이 나타났다는 것은 남북정상회담으로 인한 일시적인 효과만으로는 볼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데일리안은 여론조사기관 알앤써치에 의뢰해 무선RDD 100% 방식으로 매주 정례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보통 하루 동안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여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했다. 표본은 매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에 따른 성별과 연령, 지역별 인구 비례할당으로 추출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