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해외 테크 M&A 부진...스타트업 육성 및 생태계 조성해야”
기업 핵심 성장 전략으로 부상했지만 국내에선 크게 미흡
기업 핵심 성장 전략으로 부상했지만 국내에선 크게 미흡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테크 스타트업(신생벤처) 인수합병(M&A)이 기업의 핵심 성장전략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해외 M&A가 크게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신승관)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M&A를 의미하는 테크 M&A가 연구개발(R&D)을 제치고 기술 개발 및 혁신의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지난해 전 세계 M&A 건수의 16.2%를 차지해 최근 10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원은 미국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푸어스(S&P)의 투자정보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한 ‘테크 및 스타트업 글로벌 M&A 트렌드’ 보고서에서 국내 역시 지난 2013년 114건이던 테크 M&A 건수가 지난해에는 197건으로 72.8%나 증가했다.
그러나 국내 기업간 M&A가 대부분을 차지해 국가 간에 이뤄지는 크로스보더(Cross-border) 테크 M&A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역동적인 모습을 보이는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물론 중국과도 다른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국내 크로스보더 M&A 건수는 31건, 비중은 테크 M&A의 15.7%로 미국(822건·31.8%), 유럽연합(EU, 639건·45.4%), 중국(84건·21.3%) 등에 크게 뒤졌다. 크로스보더 M&A 증가율도 미국(32.2%)·EU(40.1%)·중국(110.0%)이 한국(24.0%)을 상회했다.
국내 기업들은 전체 테크 M&A에서 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인공지능(AI)·로봇·블록체인 기술 등을 가리키는 딥테크 M&A 건수에서 중국을 앞섰다.
지난해 중국의 전체 테크 M&A 건수는 국내의 약 두 배에 달했지만 딥테크 M&A는 우리가 101건으로 중국(97건)보다 앞섰다.
다만 딥테크 분야에서도 한국은 해외 기술을 인수하는 데 적극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들로부터도 매력적인 인수대상은 아니다.
미국과 EU 다음으로 딥테크 M&A 건수(인수 기준)가 많지만 대부분이 국내 기업간 거래로 크로스보더는 2건에 불과해 중국(12건)은 물론 일본(6건)에도 크게 뒤졌다.
국제무역연구원 김보경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AI와 블록체인 등 혁신기술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증하면서 테크 스타트업의 M&A는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라며 “글로벌 수준의 테크 M&A가 활발한 미국과 중국처럼 우리도 경쟁력 있는 테크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한편 글로벌 M&A 촉진을 통한 선순환 생태계 조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