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불확실한 자영업시장 속 ‘편의점 30년 성장' 이유는?


입력 2018.09.27 08:45 수정 2018.09.27 09:24        최승근 기자

폐점 시 손실 부담 등 가맹점주 부담 최소화

1인 가구 확대 등 외부환경 긍정적…올해 재계약률 90% 넘어


최저임금 인상, 시장 포화 등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창업 시장에서 편의점 사업의 인기는 꾸준하다. 은퇴한 베이비부머 세대가 창업 시장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점도 한 가지 이유가 될 수 있겠지만, 편의점 사업의 꾸준한 인기에 대해 지난 30여년 쌓아온 편의점 가맹본부의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뽑는 이들이 많다.

편의점 업계는 100% 성공을 담보할 수 없는 자영업의 특성을 반영해 가맹점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상권이 자리 잡아가는 시기인 개점 초기 1년 간 가맹본부가 매장운영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임차료, 인건비 등을 지원한다.

CU는 매달 점포 수익금이 ‘최대 470만원+월 임차료’에 못 미칠 경우 차액을 보전해 가맹점이 창업 초기 빠른 시간에 안정화를 돕는 ‘초기안정화제도’를 운영 중이다. 이와 함께 매출 향상에 큰 영향을 주는 간편식, 유제품 등의 상품 구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월 최대 30만원의 폐기지원금도 지원한다.

또한, 오픈한 점포가 매출 부진이 발생할 경우에는 각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팀을 통해 가맹점 수익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이런 노력에도 매출 부진이 계속될 경우 가맹본부가 투자한 인테리어 잔존가를 가맹점과 가맹본부가 함께 부담하는 방식으로 사업의 퇴로도 확대했다.

편의점 사업은 가맹본부가 제조업체에서 구입한 상품을 중간 마진 없이 가맹점에 공급한 후 점포의 매출 이익을 약정된 비율로 나누는 구조로, 가맹점의 매출을 높여야만 가맹본부도 함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30여년 간 쌓아 온 가맹본부의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은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최고 수준이다.

CU는 가맹점의 운영 효율성을 높여 급변하는 유통환경에 맞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자동발주 시스템, 모바일 점포관리 APP 등의 정교화 작업과 함께 5년 간 총 6000억을 투자해 중앙물류센터(CDC: Central Distribution Center)와 loT, O2O, 보안 기능 등을 대폭 강화한 ‘차세대 POS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CU의 점포 생존율과 재계약률은 일반 도소매업종 대비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의 ‘2016년 기업생멸 행정통계’에 따르면, 도소매업의 창업 후 5년간 생존율은 24.2%에 불과하지만 CU의 지난해 생존율은 70%가 넘으며 올해 재계약률 역시 90%가 넘는다.

외부 환경도 편의점 사업에 긍정적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결과"에 따르면 2016년 1인 가구는 539만 가구(27.9%)로 가구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점차 늘어나 2045년에는 대한민국 3가구 중 1가구가 ‘1인 가구’(36.3%)가 될 전망이다.

전체 여성 중 직업을 가지고 있는 비율도 꾸준히 상승해 2015년에는 이미 일본을 넘어섰다. 편의점 업계는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의 증가가 가성비 높은 간편식과 소규격 상품을 주로 취급하는 접근성이 뛰어난 편의점에 큰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가맹본부의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 타업종 대비 높은 생존율, 1인 가구, 근거리 소비 패턴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환경 조성 등 편의점 사업이 가진 매력은 충분하다”며 “가맹본부와 가맹점이 함께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가맹점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