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바른미래당·평화당, 지명직 최고위원 공석 장기화 조짐…이유는


입력 2018.10.04 11:15 수정 2018.10.04 13:07        정도원 기자

교섭단체 복원·이탈 의원 복귀 카드 '불발'

내년 4월 재보선 전까지 공석 장기화될 듯

교섭단체 복원·이탈 의원 복귀 카드 '불발'
내년 4월 재보선 전까지 공석 장기화될 듯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의 지명직 최고위원 공석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양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바른미래당은 2명, 평화당은 1명의 당대표 몫 지명직 최고위원이 있으나 4일 현재까지 임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8·25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이후 약 20일만에 이형석·이수진 최고위원을 지명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지명직 최고위원 공석이 장기화되는 이유는 손학규·정동영 대표가 '최고위원 카드'를 정치전략적으로 크게 활용해보려다 불발되면서 실기(失期)한 탓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당초 정동영 평화당 대표는 원내교섭단체 복원을 노리고 같은 전북 지역구의 이용호 의원에게 지명직 최고위원과 예결특위 간사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제안이 통하면서 평화당·정의당 공동교섭단체가 복구됐더라면 정 대표의 당내 위상도 상당히 상승했겠지만, 이용호 의원이 "지역의 여론을 수렴해본 결과, 민평당과 함께 하는 것은 안 된다는 게 열에 아홉"이라고 하면서 불발됐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도 비슷한 처지다.

손학규 대표는 지난달 30일 저녁 이상돈 의원과 '막걸리 회동'을 하며 당 활동 복귀를 호소했다. 이 자리에서 손 대표는 지명직 최고위원과 함께 오세정 전 의원의 사퇴로 공석이 된 바른미래정책연구원장을 이 의원에게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의 복귀가 이뤄졌더라면 바른미래당의 의석이 사실상 1석 늘어나는 것과 비슷한 효과임은 물론, 바른미래당에서 탈당해 창당된 평화당에 타격을 주면서 '제3지대'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손 대표의 당내 위상을 강화할 수 있는 '카드'였다.

하지만 이상돈 의원은 "지금 당장 그렇게 하기는 어렵다"며 고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무위로 돌아간 것이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의원총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일이 이렇게 되다보니, 이제 와서 정치적 의미 없이 아무나 임명할 수도 없어 공석이 자연스레 장기화될 조짐이라는 분석이다.

정치권 핵심관계자는 "손학규 대표나 정동영 대표나 '거물'이다보니, 누가 봐도 고개를 끄덕일만한 정치적 의미가 담긴 최고위원을 지명하고 싶었을 것"이라며 "지금은 칼을 뽑았으니 '썩은 무'라도 베겠다고 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양당의 지명직 최고위원 공석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명직 최고위원을 정치적·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장기간 비워둔 사례로는 지난 2014년 7·14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당시 김무성 전 대표는 선출 10개월째인 이듬해 4·29 재·보궐선거가 열릴 때까지 지명직 최고위원 한 자리를 비워두다가, 광주 서을에 출마한 정승 전 식약처장을 "당선시켜주면 지명직 최고위원에 임명하겠다"고 공언했다.

이 공약이 무위로 돌아가자, 계속해서 2016년까지 해가 두 번 바뀌도록 지명직 최고위원을 비워놓았다가 총선을 앞두고 영입한 안대희 전 대법관을 임명해 정치 체급을 올려줬다.

정치권 관계자는 "손 대표나 정 대표도 이제 와서 측근이나 그냥저냥한 사람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내년 4월 재보선에 출마할 사람의 정치 체급을 높여줘야 하거나, 최고위원에 어울리는 거물급 인사를 영입할 때까지 지명직 최고위원을 비워둘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