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은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 1조90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인 1조5121억원을 넘어선 액수로 사상 최대 실적이다.
이에 대해 우리은행은 지속성장 기반 확보 노력의 성과이며 전 부문에 걸친 고른 실적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했다. 이자이익은 우량 중소기업 중심의 자산성장과 핵심 저비용성 예금의 적극적인 유치 노력에 힘입어 견조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중소기업 대출은 전년 말 대비 5.4% 증가했고, 핵심 저비용성 예금도 꾸준히 증가하는 등 향후 수익 성장 기반을 확보했다는 설명이다.
비이자이익은 중점 추진 중인 자산관리부문의 성과가 두드러지면서 수익증권과 방카슈랑스 판매 호조로 자산관리부문 수수료는 20.2% 증가했다. 또 외환·파생 부문의 이익도 14.1% 늘며 비이자이익의 실적 향상을 견인했다.
특히 글로벌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한 1500억원 수준으로 손익 규모가 지속적으로 불어나고 있어 국내 예대마진 중심의 영업에서 탈피, 향후에도 이 부문의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고 우리은행은 전했다.
우량자산 중심의 영업 체질화로 건전성 지표도 개선됐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0.46%를 기록하며 역대 최저치를 다시 경신했고, 연체율은 0.34%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NPL 커버리지 비율의 경우 지난 분기 122.3%에서 127.1%로 개선됐다.
이 같은 건전성은 은행업 최고수준으로, 취약업종 및 이슈업종에 대한 선제적 관리를 비롯해 전 직원의 건전성 관리 마인드 함양으로 리스크관리 체질이 완전히 개선돼 향후에도 건전성 지표는 지속적으로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우리은행은 이러한 경영 성과를 바탕으로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아울러 다문화가정 지원 및 글로벌 사회공헌 활동을 확대하는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신규 채용을 올해 1000여명 수준으로 확대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하는 혁신성장 기업을 발굴하여 직접 투자하는 등 생산적 금융지원에도 지속적으로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연간 순익을 훨씬 웃도는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은 손태승 은행장 취임 이후 자산관리와 자본시장, 글로벌 위주의 수익 확대 전략 및 철저한 건전성 관리로 수익창출 능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결과"라며 "향후 지주사로 전환되면 비은행 부문으로의 사업 다각화를 통해 그룹의 수익기반이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