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전경련 "사상 초유의 수주 절벽...민·관 통합대응시스템 강화로 돌파해야"


입력 2018.11.26 16:19 수정 2018.11.26 16:42        이홍석 기자

해외건설·조선해양 재도약 정책세미나 개최

해외건설·조선해양 업계 당면 현안 및 정책제언.ⓒ전국경제인연합회
해외건설·조선해양 재도약 정책세미나 개최

유가하락에 따른 수주절벽으로 사상 초유의 불황 터널을 지나고 있는 해외건설·조선해양 업종의 활력 회복을 위해 민·관 합동 통합 대응시스템을 시급히 가동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대한건설협회와 공동으로 '해외건설·조선해양 재도약 정책세미나'를 개최하고 해외건설과 조선해양 업종에서 일본의 ‘경협 인프라전략회의’와 같은 민·관 합동 통합대응시스템을 시급히 가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의 경우, 아베 정권 출범 직후 지난 2013년 총리 주재 전략회의를 설치해 오는 2020년 30조엔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를 목표로 정하고 공적금융과 민관합동펀드를 통해 범부처가 통합 지원한 결과, 해외 인프라 수주실적이 지난 2013년 15조엔(149조5500억원)에서 2016년 21조엔(209조3700억원)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해외건설·조선해양 관련 인사들은 현재 수주절벽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업계가 최근의 위기를 타개하고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부에 신흥국 투자개발사업(민관협력), 해외신도시 건설, 고부가가치 해외 PMC(Project Management Consultancy) 시장 진입, 전문인력 양성, 친환경스마트 선박․ 기자재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한 R&D지원 강화, 국내 업역․노동규제 완화를 강력히 건의했다.

손태홍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해외건설업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글로벌 건설시장규모가 계속 우상향 성장하는 반면, 한국 해외건설 수주회복 가능성은 약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손 연구위원은 "글로벌 인프라 투자 규모가 2040년까지 94조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경제외교, 금융지원 강화 등 국가 역량 결집을 통해 해외 인프라 유망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국가전략의 근간을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현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정책기획팀장은 최근 조선시황이 반등했지만 강재 등 주요 원자재 상승 압박, 신조선가 회복 지연 등이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환경규제에 따른 스마트 친환경 선박 제품 및 기술 선점을 위한 정부의 정책지원 강화를 요구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