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車·조선, 민주노총 총파업 외면 …개별 사안 집중


입력 2019.03.06 11:02 수정 2019.03.06 11:09        박영국 기자

현대차 광주형 일자리, 기아차 체불임금 지급, 한국GM 분할법인 단협승계

조선업계는 현대중 대우조선해양 인수 반대에 집중

현대차 광주형 일자리, 기아차 체불임금 지급, 한국GM 분할법인 단협승계
조선업계는 현대중 대우조선해양 인수 반대에 집중


2018년 11월 민주노총 총파업 집회 장면.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철회 등을 요구하며 6일 총파업에 돌입했다.

주요 기업 노조는 조업 중단 없이 확대간부만 파업에 참여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이며, 해당 기업들은 민주노총 총파업보다는 임금·단체협약 등 개별 사안과 관련된 노사갈등을 더 우려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이날 각 사업장별 2시간 파업과 함께 여의도 국회 앞을 포함한 전국 14곳에서 집회를 개최한다.

민주노총은 지난달 25일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 확대 철회, 최저임금 제도 개편 철회,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과 국내 노동관계법 개정 등을 총파업 요구안으로 내걸고 산하 단체들과 사업장에 파업 지침을 내린 상태다.

하지만 자동차와 조선 등 대규모 사업장들은 정상 조업을 하고 노조 집행부(전임자)와 대의원 등 확대간부들만 파업에 참여한다. 전 조합원 파업시 ‘무노동 무임금’ 원칙에 따른 임금 손실과 협력사들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파장이 클 것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노동계 공통 사안보다는 개별 사업장의 노사 쟁점 사안 대응을 우선시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현대차 노조는 이날 확대간부에 한해 2시간 파업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정부가 노동관계법 개정 등을 강행할 경우 전면파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기아차 노조도 확대간부 2시간 파업 참여 방침을 정했다. 민주노총 지침보다는 개별 사안인 통상임금 판결 관련 체불임금 지급 요구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한국GM 노조는 임단협 준비를 위한 간부합숙교육 일정으로 인해 민주노총에 파업 불참 입장을 밝힌 상태다.

조선업계 역시 파업에 적극적이지는 않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확대간부를 대상으로 2시간 파업만 진행한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희망자에 한해 이날 오후 4시 창원시청 앞에서 민주노총 경남본부 주최로 열리는 ‘총파업 경남대회’에 참여한다. 대상은 전 조합원이지만 각자 연차 등을 내고 참여하는 방식이라 조업에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회사측은 지난달 27일 산업은행 앞에서 열린 집회와 비슷한 500명 내외의 인원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민주노총 총파업에 따른 영향은 미미하지만 자동차와 조선업계는 각각 개별 사안으로 노사 갈등이 지속될 전망이다.

현대차의 경우 광주형 일자리 사업 참여, 기아차는 통상임금 판결 관련 체불임금 지급, 한국GM은 분할법인인 GMTCK의 단협 승계 등이 갈등 요인으로 지목된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양사의 합병을 양사 노조 모두 반대하고 있어 앞으로 합병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