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일본 불매운동'에도 日의약품 원외처방 증가


입력 2019.11.07 06:00 수정 2019.11.06 21:40        이은정 기자

일본 처방약 대체제 없는 오리지널 의약품 多

국민건강 우선시 하는 의료계의 불가피한 선택

일본 처방약 대체제 없는 오리지널 의약품 多
국민건강 우선시 하는 의료계의 불가피한 선택


일본제품 불매운동 포스터. ⓒ온라인커뮤니티

불길처럼 번졌던 일본 불매운동 여파가 처방의약품 시장까지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계 제약사들의 처방 의약품 대부분이 대체제가 별로 없는 오리지널 의약품인데다 중증 질환에 쓰이고 있어서다.

7일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UBIST)에 따르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국에자이, 한국다케다제약 등 주요 일본계 제약사의 3분기 원외 처방실적이 일제히 상승했다. 이들 업체의 3분기 원외 처방실적(주요 6개사 1781억원)은 불매운동이 없었던 2분기(1679억원)보다 6.1% 늘어났고, 지난해 3분기(1551억원)보다 14.8%나 상승했다.

올 상반기 원외처방액 100억원 이상인 일본제약사의 전문의약품 제품을 보면 아스텔라스제약의 '하루날'과 '베타미가'가 각각 354억원, 284억원이다. 다이이찌산쿄의 '세비카'·'세비카HCT'·'릭시아나'가 각각 243억원, 157억원, 252억원씩 처방됐다.

이 외에도 ▲다케다제약 '란스톤LFDT' 144억원 ▲오츠카제약 '프레탈' 135억원 ▲아스텔라스제약 '프로그랍' 112억원 ▲아스텔라스제약 '엑스탄디' 128억원 등이다.

업계에서는 전문의약품이 일반의약품과 달리 환자의 건강과 직결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의약계 본분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보고 있다. 중증 질환의 경우 불매운동에 동참하기 위해 약을 바꾸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분석이다. 앞서 약사단체들이 일본 의약품 불매운동에 동참할 때도 의료계는 "국민의 생명권이 우선"이라며 공개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실제 약사단체의 경우 불매운동이 한창이던 지난 7~8월 전국 16개 시도지부 중 인천, 울산을 제외한 14개 지부가 일본 의약품 불매를 선언했다. 그러나 의사단체는 국민 건강권을 볼모로 전문약 불매운동은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일본 약이라고 하더라도 당장 처방받지 못하면 치명타를 입는 만성질환 환자들에게 불매운동은 비현실적인 이야기"라며 "우리나라도 불매운동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그런 신약을 많이 만들어야 한다. 그러려면 정부의 지원과 규제 개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환자들이 의사에게 받아온 처방전에는 제약회사 이름 없이 상품명만 적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환자들이 일본산 여부를 구분하는 것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환자들이 처방의약품이 일본산인지를 구분하는 것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불매운동이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웠다는 평가도 나온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일본 처방의약품을 오랜 기간 처방받았던 환자들은 부작용 우려 때문에 약을 간단히 바꿀 수가 없다"면서 "일본산 일반의약품에는 어느 정도 타격을 입혔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처방약은 손대기에 복잡한 사정이 있다"고 말했다.

이은정 기자 (e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은정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