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대표 기종으로 자리 잡아...기내 고성능 공기여과장치 탑재
아시아나항공(대표 한창수)은 A350 11호기를 도입하고 미주·유럽 노선에 투입한다고 5일 밝혔다. 지난 2017년부터 도입한 A350-900이 장거리 노선 대표 기재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도입으로 아시아나항공의 A350은 ▲뉴욕 ▲LA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등 미주 4개 노선과 ▲런던 ▲파리 ▲리스본 등 유럽 노선에 투입되며 장거리 주력기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이외에도 중단거리인 싱가포르·자카르타·도쿄(나리타) 등 동남아와 일본 노선도 운항중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2017년부터 수익성 중심의 장거리 네트워크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기 위해 A350을 도입해왔다. 올해는 11호기를 포함해 총 3대의 A350을 도입한다.
A350은 연료효율성이 25%가 뛰어나며, 국내 최초로 기내 와이파이(Wi-Fi)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다른 항공기와 마찬가지로 A350 역시 고성능 공기여과장치(HEPA필터)를 통해 공기를 순환하고 있어 전염병이 기내에서 확산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내에는 항공기 엔진을 통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후 냉각된 외부공기와 공기여과장치를 통해 바이러스는 99.99%까지 걸러낸 내부순환공기가 50:50 비율로 혼합된 깨끗한 공기가 공급된다.
특히 항공기에 장착된 공기 여과 장치(HEPA 필터)는 코로나바이러스(0.08~0.16 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입자인 0.01~0.1 마이크로미터까지 여과하고 있다.
A350은 매 2분~3분마다 기내 모든 공기는 완전히 새로운 공기로 교체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기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기내 측면에서 좌석 하단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따라서 기내 앞/뒤쪽으로 공기가 순환하지 않아 기내에서 전염병이 확대될 가능성이 낮다.
회사측은 "신기재 도입에 발맞춰 장거리 노선을 개척하고 있다"며 "지난해 12월 이집트 카이로, 호주 멜버른, 10월 포르투갈 리스본 등 신규 장거리 노선 부정기편을 개척했으며 뉴욕 노선을 일 2회로 증편하는 등 장거리 노선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