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6대 신산업, 매출 대비 연구개발 비중 4.1% 불과
절대적 규모도 글로벌 기업에 밀려…평균 100배 차이
“미래 먹거리 분야 경쟁력 강화 절실…투자환경 개선”
최근 각광받고 있는 헬스케어와 정보통신기술(ICT) 등 신산업 분야에서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가 걸음마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국내 및 글로벌 R&D 투자 500대 기업을 분석한 결과 6대 신산업 분야에 속한 우리 기업의 매출 대비 R&D 투자 비중이 글로벌 기업에 뒤처진 것으로 조사됐다고 6일 밝혔다.
6대 신산업에는 ▲제약·바이오·생명과학 ▲헬스케어 ▲IT서비스·소프트웨어 ▲인터넷·전자상거래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통신서비스가 포함된다.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6대 신산업의 국내 기업 R&D 집중도는 4.1%로 글로벌 기업 (12.0%)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는 6대 신산업 분야 모두에서 R&D 집중도가 글로벌 기업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IT서비스·소프트웨어(1.3%), 인터넷·전자상거래(1.2%) 기업의 R&D 집중도는 1% 수준에 불과해 10% 수준인 글로벌 기업(IT서비스·소프트웨어 12.5%, 인터넷·전자상거래 11.6%)과 큰 격차를 보였다.
절대적인 R&D 투자액 역시 글로벌 기업과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제약·바이오 분야 R&D투자 국내 1위인 한미약품의 투자액은 1.7억달러로 세계 1위 기업인 로슈(131.9억달러)의 1.3%에 불과했다.
IT서비스 분야 국내 1위인 삼성SDS 역시 0.6억달러로 세계 1위 마이크로소프트(180억달러) 투자금액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한경연은 글로벌 500대 기업의 6대 신산업 평균 R&D 투자규모가 기업당 24.7억달러로 국내 500대 기업 평균인 기업당 0.25달러의 100배 수준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실제 6대 신산업 분야별 글로벌 R&D투자 100대 기업에 속하는 한국 기업은 총 13개사에 불과했다. 6대 산업 중 3개 분야(제약·바이오·생명과학, 헬스케어, IT서비스·소프트웨어)에는 한국 기업이 단 한 곳도 없었다.
국내 신산업 R&D투자는 글로벌 기업뿐만 아니라 국내 전통산업에도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500대 기업의 전체 R&D투자에서 6대 신산업 R&D 비중은 8.0%에 그친 반면, 글로벌 500대 기업의 신산업 R&D투자 비중은 전체의 41.0%로 조사됐다.
주요국별 R&D투자 500대 기업을 기준으로 봤을 때, 미국은 6대 신산업 R&D투자 비중이 60.9%로 신산업 R&D 투자규모가 전통산업의 1.5배에 달했다.
일본과 중국의 경우도 6대 신산업 R&D투자가 500대 기업 전체의 각 21.8%, 19.1%를 차지해 한국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한국은 반도체 등 IT제조업 분야에서는 기술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으나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등 서비스업 비중이 큰 신산업 분야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며 “규제 완화 및 세제 지원 확대 등 기업의 R&D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미래의 주요 먹거리가 될 신산업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