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농진청, 양송이버섯 로열티 해결…국산 보급률 70%


입력 2021.01.13 14:55 수정 2021.01.13 14:56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10년 사이 18배 증가…새도·새한·도담 3품종 활약 커

농촌진흥청이 로열티 절감을 위해 2011년부터 국산 양송이 품종개발에 집중한 결과, 지난해 품종 보급률 72.3%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양송이는 세계 버섯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으로, 국내에서는 한 해 생산액이 작년 기준 1496억원에 이르는 등 표고버섯 다음으로 주요한 버섯으로 취급된다.


현재 양송이 국산 품종 보급률은 72.3%에 이르지만 10년 전에는 4% 정도에 그쳐 국내 시장의 대부분을 외국 품종이 점유하고 있었다.


이에 농진청은 품종 개발에 집중해 중온성(16℃기준)인 ‘도담’·‘호감’ 중고온성(18℃)인 ‘새아’·‘새도’·‘새한’, 고온성(18~20℃)인 ‘하리’·하담’ 등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재배할 수 있는 9개 품종을 육성했다.


품종 보급률 증가를 이끈 양송이 삼총사 ⓒ농진청

또한 농업인 단체와 씨균(종균) 생산업체, 농협 등과 주기적으로 협의회를 갖고, 실증시험을 통해 개발 품종의 현장보급도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양송이 국산 품종 보급률은 10년 전 4%에서 2020년 72.3%로 18배 증가했다. ‘새한’·‘도담’·‘새도’ 3품종은 전체 양송이의 52.2%를 점유하며, 국산 품종보급의 일등공신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균사 생장과 갓 색이 우수한 ‘새한’ 품종은 단독으로 2019년 40%, 2020년 25.9%의 점유율을 확보하며 우수성을 인정받아 ‘2020년 대한민국 우수품종상’에서 장관상을 받기도 했다.


아울러 양송이 국산화에 앞장선 품종개발 및 보급연구는 ‘제23회 농림축산식품 과학기술대상’에서 장관상 수상으로 성과를 인정받았다.


김동환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장은 “최근 농작업의 편리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지며 재배가 쉬운 ‘완성형 배지’의 사용 증가와 함께 외국 씨균 수입량이 늘어나고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완성형 배지 맞춤형 품종과 기후변화에 대비한 에너지 절감 품종 육성 연구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