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서울청사서 '한국판뉴딜 점검회의' 개최
"친환경차 공공과 민간 수요 확대 적극 유도"
"차 보급, 인프라 구축 2025년까지 13.1조원 투입"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공공기관의 친환경차 구매 의무화와 렌트카·택배업계의 '친환경차 구매목표제' 등을 통해 공공과 민간의 수요 확대를 적극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이억원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판뉴딜 점검회의'를 개최해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추진현황 및 계획을 점검하며 이같이 말했다.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는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 중 하나다. 정부는 작년까지 전기·수소차를 14만9000대 보급했고 전기차충전기 6만4000기, 수소충전소 70기를 설치했다. 또 글로벌 침체 속에도 불구하고 민관 협력을 통해 2020년 친환경차 수출 27만대 성과를 달성했다.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과 글로벌 미래차 시장 선점을 목표로 전기차, 수소차 보급 및 관련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해 2025년까지 약 13조1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억원 차관은 "금년에도 전기·수소차를 11만6000대 보급하고 전기차충전기 3만2000기, 수소충전소 110기를 대폭 확충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2025년까지 전기·수소차 133만대 보급 목표를 차질없이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2050 탄소중립 이행을 뒷받침하기 위한 '수송부문 미래차 전환전략'을 연내 수립해 친환경차 중심의 생태계 전환과 미래차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