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복준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
'고(故) 손정민씨 사망 사건' 언급
"절대 부화뇌동 하면 안 돼"
김복준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이 '고(故) 손정민씨 사망 사건'과 관련해 "확인되지 않은 사실에 현혹되어 기정사실인양 누군가를 비난하고 욕을 하는 것은 진짜 위험한 행위"라며 우려를 드러냈다.
김 연구위원은 지난 19일 김윤희 전 프로프일러와 함께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김복준 김윤희의 사건의뢰' 커뮤니티에 '한강 실종 대학생 사망 사건'에 대해 글을 올리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뜬금없이 "글을 드리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한강 손정민 학생 사건과 관련하여 약간의 우려가 되어서다"라고 말하며 "진상파악을 위한 수사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사실과 다른 유언비어성 허위사실이 난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그 내용의 실체를 따라가 보면 애초부터 근거가 없다면서 누군가의 머릿속에서 쓴 소설이고 미확인 사실을 추정으로 판단한 것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거기에 경찰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여 상승작용을 하고 있는데 전직 경찰로서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김 연구위원은 "손군의 가족 입장에서 제기하는 의혹들은 당연한 것"이라면서 "들어보면 일반인의 상식적인 판단을 넘어서는 일들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그 제기하는 의혹 외에 확인도 안 된 말을 섞어서 유포하는 제 3자의 행위는 잘못하면 민·형사상의 책임을 질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손 군의 부검에서 사인이 익사가 아니면 볼 것도 없이 타살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럴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보았다"며 "부검에서 제가 기대한 것은 혹시 다툼의 흔적이 있지 않을까? 등 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경찰에서도 당연히 했겠지만) 친구의 몸에 다툰 흔적으로 추정되는 상처가 있다면 충분히 유추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며 "안타깝게도 그런 발표가 없는 걸로 보아서 손 군과 손 군의 친구 몸에서는 사안을 판단할만한 흔적은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위원은 "물론 갑자기 물로 밀치는 경우가 있었다면 다르겠지만, 그러나 늘 말씀드렸듯 살해라면 그 동기가 존재해야 한다"며 "경찰에서는 만의 하나 타살로 판단이 된다면 그 동기가 되는 것들을 이미 수집하고 있을 것이다. 그래야 기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수사에 게으름을 피운다는 생각들을 하시는 것 같은데 우리 구독자들은 이미 어느 정도 경지에 있으셔서 아시겠지만 (블랙박스를 확인해야 할) 154대의 차량이 전부 CCTV로 번호판 해독이 되는 게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거의 점의 형태로 보여서 이 경우, 일단 차종을 파악하고 그 차의 동선을 확대하며 동일한 차종을 찾아 번호판을 도출하고 차적 조회를 해서 소유자를 특정, 일일이 연락해서 그 시간대 그곳을 지난 이유를 묻고 협조를 받아서 조사하는 것"이라며 "아직도 점 형태의 차를 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외압 의혹과 관련해 그는 "저는 서초경찰이 외압을 받고(그런 배경이 없다는 사실은 이미 밝혀졌지만) 수사를 무마하려 했다면 저부터 그냥 있지 않겠다"고 목소리를 높이며 "이건 경찰조직은 물론 대한민국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 연구위원은 책임의 소재와 처벌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법적인 처벌과 도덕적 책임도 구분하여 염두에 두어야 한다"면서 "비난 가능성과 범인인 것은 다르다. 사안을 지켜보면서 신중하게 판단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그는 구독자들에게 "절대 부화뇌동 하시면 안 된다. 이 사건은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이고 그 폭풍에 휘말리시면 안 된다"며 "제가 무슨 억하심정이 있어 사실을 왜곡하겠는가? 그래서 지극히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점을 이해해 주셨으면 감사하겠다"고 했다.
최근 한강 실종 대학생 사망 사건을 두고 각종 추측과 음모론이 난무하고 있다. 특히 정확한 사실 관계 파악 없이 의혹만 제기하며 자극적인 내용을 담은 일부 유튜버들의 영상이 더욱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사건을 그저 돈벌이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는 상황.
이에 대해 김 연구위원은 글 말미에 "의혹 제기에 동조하지 않는다고 미워하는 분들이 있지만 그건 그분들이 잘못된 게 아닐까?"라고 반문하며 "저는 구독자님들께 있는 그대로 사실을 말해야 하지 않겠습니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