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이주열 총재 “금리인상 서둘러도, 실기해서도 안 돼”


입력 2021.05.27 12:58 수정 2021.05.27 13:03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27일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

통화완화정책 유지...경기회복 뒷받침

추경, 올해 성장률 0.1~0.2%p 높일 것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연내 금리 인상 여부는 회복 속도 등 경제상황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끝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예상보다 국내 경제 회복세가 빠르지만 코로나19 불확실성으로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며 “금리 정상화는 서둘러도 안되지만 실기(失期)해서도 안된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회복세는 지속하면서 금융불균형 누적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연내 금리가 인상될지 여부는 회복속도 등 경제상황에 달렸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보다 앞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필요는 없단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도 의견을 피력했다. 이 총재는 “연준이 기준금리 검토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으나 국내 통화정책은 국내 경제 상황에 따라 결정하는게 맞다”며 “(기준금리 인상을)미뤘다가 연준이 할때 따라가면 금융불균형 확대 부작용이 있을수도 있고, 바꿔 생각해 먼저 조정하면 정책적으로 여력이 생길 수도 있다”고 답했다.


이날 한은은 시장 예상치보다 높은 연 4.0% 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았다. 이 총재는 낙관적 시나리오상 전망에 대해 “낙관적 시나리오의 대전제는 백신 접종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전되고 경제주체 심리가 호전에 따른 경제 활동이 예상보다 빨리 정상화되는 것이고, 추가로 경기부양책을 실시하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성장률이 한은의 기본 전망보다 훨씬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올해 경제성장률 4.0% 전망치에서는 재난지원금 추가경정예산(추경)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지난 2월 전망치를 발표할 때는 4차 재난지원금의 규모라던가 정확한 세부 내용이 확정되지 않아 성장률 전망치에 반영하지 않았다”며 “이후 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한 추경이 15조원 가량 확정되서 지금까지 70% 집행된것으로 파악된다”고 언급했다.


또 “내용을 보면 소비성향이 높은 자영업자, 저소득층에 집중돼서 통상의 가계이전 지출에 비해 소비진작 효과가 크지 않나 생각한다”며 “한은 거시계량모형에 따르면 추경이 올해 성장률을 0.1%~0.2%p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이 총재 임기와 대통령 선거 일정이 통화 정책의 변수로 지목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통화정책은 개인이 아닌 금통위가 금융경제상황에 맞춰서 하는 것으로 총재 임기나 정치 일정과 무관하다”고 못박았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